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200251
한자 咸陽郡邑誌
영어공식명칭 Hamyangguneupji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경상남도 함양군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재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편찬 시기/일시 1832년연표보기 - 『경상도읍지』「함양군읍지」 편찬
소장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서울시 관악구 관악로1[신림동 산 56-1]
성격 향토지
간행자 경상감영
권책 20책 1,800장
행자 10행 20자
규격 35.0×22.6㎝

[정의]

1832년 경상남도 함양군의 역사와 문화를 정리하여 편찬된, 『경상도읍지』에 수록된 함양군 향토지.

[형태/서지]

세로 35㎝, 가로 22.6㎝의 필사본이다. 표지는 능화문황지(菱花紋黃紙), 본문은 저지(楮紙)가 각각 사용되었다. 채색지도가 포함되어 있다.

[구성/내용]

『경상도읍지(慶尙道邑誌)』는 1832년경에 편찬된 경상도 도지(道誌)로, 필사본이다. 20책으로 되어 있다. 각 고을 읍지마다 맨 앞에 채색지도를 실었다. 「함양군읍지」『경상도읍지』의 7책에 수록되어 있다. 「함양군읍지」의 항목 구성은 지도, 건치연혁(建置沿革), 군명(郡名), 관직, 성씨, 산천, 풍속, 방리(坊里)[마을], 호구, 전부(田賦)[토지에 부과하던 조세], 군액(軍額), 성지(城池), 임수(林藪), 창고, 군기(軍器), 학교, 관방(關防), 진보(鎭堡), 봉수(烽燧), 단묘(壇廟), 능묘(陵墓), 불우(佛宇), 공해(公廨), 누정(樓亭), 도로, 교량, 도서, 제언(堤堰), 장시(場市), 역원(驛院), 목장, 형승(形勝), 고적(古蹟), 토산(土産), 진공(進貢), 봉름(俸廩)[조선 시대에 벼슬아치에게 주던 봉급], 환적(宦蹟)[벼슬아치로 있을 때의 행적], 과거(科擧), 인물, 제영(題詠)[제목을 붙여서 시를 읊음], 비판(碑板), 책판(冊板)으로 되어 있다.

1760년경 편찬된 『여지도서』 항목과 비교해 보면 임수(林藪), 군기, 장시, 환적, 과거, 비판, 책판 항목이 새로 생겼다. 새로이 등장한 군기, 장시, 환적, 과거, 책판 등의 항목은 18세기 말[정조 말년]에 편찬 작업이 이루어진 『해동여지통재』 계열 읍지의 장시, 요역, 군기, 선생안, 과환(科宦)[과거에 급제한 벼슬아치], 책판 항목의 성과를 이어받은 것으로 보인다. 『경상도읍지』는 항목 구성에서 기술 내용에 이르기까지 지역의 인물, 문화, 역사에 큰 비중을 두고 기록하였다. 이러한 분야의 내용이 많을 뿐만 아니라 기술 내용도 풍부하여 읍지 분량의 절반 이상이 할애되었다.

[의의와 평가]

전국지리지, 도지, 개별 읍지를 막론하고 19세기 전반에 편찬된 읍지는 많지 않다. 『경상도읍지』는 1832년경에 편찬되었으며, 통일된 항목과 기술 방식을 적용한 경상도 71개 고을 읍지의 존재는 학술 자료의 토대가 된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