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3101399 |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유형 | 놀이/놀이 |
지역 | 경기도 광명시 |
집필자 | 간호윤 |
[정의]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공동 노동이나 잔칫날에 하던 공동체 놀이.
[개설]
두레놀이는 정월 대보름과 두레 공동 노동 시, 그리고 혼인과 환갑 등의 기쁜 날에 두드리는 마을 공동의 민속놀이이다. 두레는 원시적 유풍인 공동 노동체이며 농촌 사회의 상호 협력과 감찰을 목적으로 조직된 촌락 단위의 조직이다. 우두머리를 좌상[영좌]이라 하고, 두레를 표시하는 기(旗)가 있었다. 그 종류도 다양하여 성별에 따라 남자 두레와 여자 두레로 나눌 수 있고, 선후에 따라 선생 두레와 제자 두레, 또는 형 두레와 아우 두레로 나눌 수 있다.
[연원]
두레놀이는 조선 후기 이앙법 보급과 함께 이루어진 조직체인 두레를 기반으로 한다. 두레는 농사일을 공동으로 하기 위하여 마을·촌락 단위로 둔 조직으로 상호 부조·공동 오락·협동 노동 등을 목적으로 하였다. 농사철에는 서로 협조하여 농사에 힘썼고, 기쁜 일이 있을 때에는 여러 가지 놀이를 하며 함께 즐겼다.
광명 지역의 두레놀이는 경기 지역의 두레놀이와 그 연원이 유사하다. 광명시 옥길동 두길마을에 있던 두레는 공동 노동으로 많을 때는 인원이 40명 정도가 모여 김매기 등을 하였다. 물론 이 공동 노동에는 꽹과리, 제금, 장고, 징, 북, 호적, 소고 등 풍물이 동원되었음은 물론이다. 광명 지역의 두레놀이는 김매기가 끝나는 칠월 칠석쯤에 마무리 되며, 특히 광명시 옥길동 식골의 두레가 유명하다.
[놀이도구 및 장소]
풍물에 필요한 꽹과리, 제금, 장고, 징, 북, 호적[피리], 소고 등의 악기와 두레기가 있으면 된다.
[놀이방법]
광명 지역의 두레놀이에 동원된 풍물은 꽹과리, 제금, 장고, 징, 북, 호적[피리], 소고 등이었다. 두레 공동 노동은 영좌(領座), 공원(公員), 조사 그리고 두레 성원으로 구성되었다. 가장 나이 많은 사람을 영좌로 삼고, 두레의 모든 일은 영좌와 공원이 논의하여 결정 수행한다. 조사는 정식으로 두레 성원은 아니지만 나이 어린 사람으로 담뱃불이 꺼지지 않도록 관리한다. 두레 임원은 해마다 김매기 직전에 두레 회의를 갖고 거기에서 선출한다.
광명 지역의 두레기는 크기가 약 5m 정도로서 옥양목으로 만들고 가장 자리에 붉은 천을 둘렀으며 ‘농자천하지대본야(農者天下之大本也)’라고 썼다. 영기(令旗)는 따로 없다. 두레기에는 각기 연조가 있어서, 연조가 깊지 않은 두레기는 연조가 오래된 두레기에게 절을 올려야 한다. 절을 올리지 않을 경우 마을끼리 두레싸움으로 번진다. 두레싸움은 누가 제비[풍물]를 잘하는가를 겨루며, 결과에 따라 벌주를 내기도 한다.
두레 공동 노동은 마을의 과부와 병이나 유고로 노동력을 낼 수 없는 논은 무보수로 노동력을 제공하였다. 마을의 모든 논이 다른 마을보다 빨리 끝나면 두레는 다른 마을까지 자리품[雇只]하러 간다. 두레 공동 노동은 김매기가 대략 끝나는 칠월 칠석 쯤에 마무리가 되며, 이때에는 호미걸이를 통하여 두레를 먹으며 한바탕 놀게 된다. 두레패들은 집집마다 다니면서 놀이굿을 하고, 대농(大農)은 막걸리와 국수 애호박 등을 차려 마을 잔치가 벌어진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두레가 이행하는 공동 노동의 형태는 모내기·물대기·김매기·벼 베기·타작 등 논농사 경작 전 과정에 적용이 되었다. 특히 많은 인력이 단기간 내에 노동력을 집약시켜 일을 해야 하는 모내기와 김매기에는 거의 반드시 두레가 동원되었다. 두레는 생산성을 극대화시키려면 반드시 필요한 조직이었다.
[현황]
두레놀이는 현재 급속한 도시화로 인한 생태계의 변화와 생활 방식의 변화로 거의 사라지고 몇몇 지역에서만 보존의 차원에서 유지되고 있는 실정이다. 광명 지역의 두레놀이 또한 예외는 아니다. 6·25전쟁 이후에도 한동안 식골을 중심으로 두레 공동 노동을 통하여 마을 논, 즉 도지논, 토미논, 겨살 등을 경작하였다. 현재는 시골에서도 두레 공동 노동이 없어졌다. 두레의 소멸 이유는 마을 사람들 중 제비꾼[두레패]이 없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