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3101285 |
---|---|
한자 | 祭禮 |
영어의미역 | Rituals |
이칭/별칭 | 차례,기제,제사,시제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유형 |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
지역 | 경기도 광명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한만영 |
[정의]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돌아가신 조상이나 특정한 신명(神明)을 받들어 복을 빌기 위해 행하는 추모 의례.
[개설]
사례(四禮) 중 하나인 제례는 신령에게 술과 음식을 바치며 기원을 드리거나 죽은 사람을 추모하는 의식을 말한다. 제례는 전통적으로 하늘에 대한 제천 의례, 일월성신(日月聖神)이나 산천에 드리는 의례, 종묘와 사직을 숭배하는 왕실 의례, 마을 공동체 단위로 이루어지는 대동제, 개인적인 조상 숭배 의례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그러나 현대에서 제례의 의미는 대부분 ‘제사(祭祀)’라 하여 개인적인 조상 숭배를 의미한다.
광명 지역에서는 제례를 차례(茶禮)·기제(忌祭)·시제(時祭)로 나누어 행하고 있다. 차례는 전통적으로 설·한식·추석·동지 등에 지냈으나, 현대에는 설날과 추석에만 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집안에 사당이 있는 경우에는 삼헌(三獻)[술을 세 번 부어 올림]을 하였으나, 사당이 없는 경우에는 보통 단헌을 한다. 광명 지역에서는 설날에는 떡국, 추석에는 송편과 같이 특별한 음식을 제물(祭物)로 올렸으며, 설날 차례 후에는 성묘를 다녀온 후에 세배를 드렸다.
기제 또는 기제사는 보통 사대봉사(四代奉祀)가 원칙이지만, 점차 간소화되는 경우가 많다. 기제사는 종손이나 장남이 지내는 것이 보편적이며, 제사에는 동고조(同高祖) 8촌까지는 같은 지역에서 생활하는 경우 참석한다.
시제는 기제의 대상에서 제외된 조상들의 묘소에서 1년에 한 번씩 음력 10월 중에 정해진 날짜에 직계 후손들이 모여서 지내는 것을 말한다. 묘소 아래에 재실(齋室)을 지어 비가 올 때에 사용하기도 하고, 제사 후에 음복 장소나 문중 회의 장소로 사용하기도 한다.
이외에 나라에 공로가 있거나 도덕성이 높은 사람은 지속적으로 제사를 지내는 불천위(不遷位) 제사가 있는데, 광명시에서는 오리(梧里) 이원익(李元翼)[1547~1634]의 불천위 제사가 지금까지도 행해진다. 음력 10월 24일에 지내던 이 제사는 2003년 이후 충현박물관(忠賢博物館)이 개관되면서 양력 10월 24일에 지내고 있다.
[연원 및 변천]
제례는 선사시대부터 제천 행사나 조상 숭배의 형태로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고대 이후에는 불교와 유교 등의 영향으로 일정한 형식을 갖추게 되었다. 특히 조선시대에는 국가 및 민간에서도 유교식 제례를 강화하여 현대에까지 이르고 있다.
[절차]
제례의 절차는 차례·기제·시제 등이 각각 차이가 있다. 이 중에서 기제의 절차가 기본적인 형태라 할 수 있기 때문에 기제의 절차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제례의 절차는 전통적인 유교 의례에 따른 절차가 있으나, 지역이나 집안마다 그 제물(祭物)이나 절차의 차이가 있다. 속담에 “남의 집 제사에 감 놓아라, 배 놓아라.”라고 하는 것은 필요 없는 것에 참견하는 것을 의미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여기에서는 보편적인 절차를 설명하고자 한다.
1. 참신(參神): 신위(神位)[조상]께 인사를 드리는 의식으로 제주(祭主) 이하 모든 사람이 두 번 절한다.
2. 강신(降神): 신위께서 강림하셔서 음식 드시기를 청하는 의례로 제주가 향을 피우고 술잔을 부은 뒤에 제주만 두 번 절을 한다.
3. 진찬(進饌): 지역이나 집안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제상에 제사 음식을 이때에 올리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은 차려진 음식 중에서 메[飯: 밥]의 뚜껑을 열어 놓는 절차이다.
4. 초헌(初獻): 처음으로 술을 드리는 의식이다.
5. 독축(讀祝): 축문(祝文)을 읽어 제사를 받는 조상께 제사의 연유와 감회를 고하고 정성스럽게 마련한 음식을 권하는 의식이다.
6. 아헌(亞獻): 제주의 아내 또는 형제가 두 번째 잔을 올리는 의식이다.
7. 종헌(終獻): 아헌자의 다음 근친자가 잔을 올리는 의식으로 7부쯤만 잔을 채운다.
8. 첨작(添酌): 제주가 마지막으로 종헌 때 올린 잔을 채우는 의식이다.
9. 유식(侑食): 조상께 음식을 권하는 의식으로 메에 숟가락을 꽂고 젓가락을 시접(匙楪) 위에 손잡이 부분이 서쪽으로 가도록 놓는다.
10. 합문(闔門): 유식이 끝난 후 제주 이하 모든 사람이 문 밖으로 나가거나, 뒤로 돌아 잠시 기다리는 의식을 말한다.
11. 계문(啓門): 축의 지시에 따라 문 밖에 나갔던 사람들이 다시 자리로 들어오고, 국을 물리고 숭늉을 진설한 후 숟가락과 젓가락으로 밥을 세 번 떠서 물에 만다.
12. 사신(辭神): 의식이 끝나는 절차로 숟가락과 젓가락을 내리며, 메의 뚜껑을 덮은 다음 모든 사람이 두 번 절한다. 축과 지방을 태운다.
13. 철상과 음복: 제사상을 물리고 제사에 참여했던 사람들이 제물을 나누어 먹는 의식이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제례는 선사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지속되고 있는 오랜 전통을 지닌 통과 의례의 하나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특히 유교의 영향이 강했던 조선시대를 거치면서 그 형식이 엄격해지고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었으나, 현대에는 점차 그 범위나 절차가 간소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아직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설날과 추석에는 차례를 지내고, 비록 간소화되었으나 조상의 기일에는 제사 또는 추모제를 올리고 있으며, 집안에 따라 시제도 널리 행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