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3100105 |
---|---|
한자 | 光明七洞 |
영어의미역 | Gwangmyeong7-dong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경기도 광명시 광명7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현석 |
[정의]
경기도 광명시에 속하는 행정동.
[명칭유래]
광명(光明)은 해와 달이 잘 비추는 동네여서 붙인 이름이라는 설, 광명동에서 맨 처음 생긴 마을인 괭매의 지세가 풍수지리상 등잔을 얹어 놓는 기구인 광명두와 비슷해 불을 밝힌다는 뜻에서 붙인 이름이라는 설, ‘검밝다’는 뜻으로 풀이해 ‘밝은 임금’이라는 뜻에서 붙인 이름이라는 설이 전한다. 기록에 따라서는 ‘광명(廣明)’으로 표기한 예도 있다. 괭매는 광명시의 유래가 된 마을이자 광명7동의 근간이 되는 마을로 달리 원광명(元光明)이라고도 한다. 광명7동의 자연마을인 신기촌은 새로 조성된 마을이라는 뜻에서 붙인 이름이다. 달리 새말, 새터말[광명동]라고도 한다.
[형성 및 변천]
광명동은 조선시대 수원부 관할이던 금천현 남면 광명리·광화대리 지역으로, 금천현은 1795년(정조 19) 시흥현으로 고쳤고, 1895년(고종 32) 23부제가 실시되면서 시흥군으로 고쳐 인천부에 속하였다. 1896년(고종 33) 13도제가 시행되면서 광명동은 경기도 시흥군 남면 광명리·광화대리가 되었고, 1914년 광명리와 광화대리를 병합하여 경기도 시흥군 서면 광명리가 되었다.
1960년대 말 택지 개발 사업으로 현재의 광명7동 도덕산 서쪽 기슭에 주택가가 형성되었으며, 1970년 6월 10일 경기도 시흥군 서면 광명출장소가 설치되어 철산리와 광명리를 관할하였다. 1974년 6월 1일 경기도 시흥군 광명출장소로 승격하였고, 1979년 5월 1일 경기도 시흥군 서면이 소하읍으로 승격하였다. 1981년 소하읍과 광명출장소를 통합하여 광명시로 승격한 뒤 법정동인 광명동을 두어 7개 행정동으로 나눌 때 광명7동이 되었다.
[자연환경]
광명7동 대부분 지역이 도덕산 기슭에 자리 잡고 있으며 서쪽으로 목감천이 흐른다.
[현황]
2010년 7월 31일 기준 면적은 2.34㎢이며, 2016년 8월 31일 현재 인구는 총 9,281세대에 2만 4431명[남자 1만 2302명, 여자 1만 2129명]의 주민이 살고 있다. 광명시에서 철산3동에 이어 두 번째로 인구가 많은 행정동이다. 동쪽으로 도덕산을 사이에 두고 철산4동·하안1동, 서쪽으로 광명6동, 남쪽으로 학온동, 북쪽으로 광명4동과 이웃하고 있으며, 광명로가 남북을 가로질러 지난다.
대개 광명시 중앙도서관을 경계로 북부는 주택가가 형성된 도시 지역, 남부는 농촌 지역이다. 거주 형태는 중앙하이츠아파트 단지를 비롯해 다세대 주택, 단독 주택, 노후 주택 등이 뒤섞여 있고 상가는 크게 발달하지 않았다. 주택이 밀집해 있는 지역은 1960년대 말 택지 개발 사업으로 조성된 지역이다. 광명7동 전체 면적의 66%인 1.54㎢가량이 개발 제한 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공공시설로는 2004년 10월 28일 개관한 광명시 중앙도서관이 있고, 교육기관으로는 광명남초등학교·광문초등학교·광문중학교·광문고등학교·광명공업고등학교가 있다. 사회복지 시설로는 광명사랑의 집, 평강의 집이 있다. 그중 광명사랑의 집은 1987년 서울특별시 동작구 사당동에서 처음 문을 연 뒤 광명시 옥길동을 거쳐 1993년 광명7동으로 옮겨 왔다.
공원 시설은 2008년 10월 준공한 도덕산 도시자연공원·무지개어린이공원·희망찬어린이공원·우리또래어린이공원·신나는어린이공원이 있고, 산업 지원 시설로는 한국전력공사 영서변전소가 있어 송전·변전 및 정보 통신 설비를 운영하며 서울특별시 일원과 광명시·안양시·부천시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