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효동 금곡마을 기우제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4431
한자 忠孝洞金谷-祈雨祭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제
지역 광주광역시 북구 충효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정혜정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민간신앙
의례 시기/일시 가뭄이 극심할 때

[정의]

광주광역시 북구 충효동 금곡마을에서 가물 때 비가 내리기를 기원하며 지내는 제사.

[개설]

충효동 금곡마을 기우제는 비가 오지 않아 가뭄이 심하면 행하였다. 충효동 뒷산인 금산(錦山) 중턱에 제단이 있어 그곳에서 모신다. 충효동 단위의 기우제는 1930년대 가뭄이 왔을 때 한 번 지냈으며, 금산 아래 마을 단위의 기우제는 1980년대 초중반까지 지냈다고 한다.

[절차]

가뭄이 심해서 기우제를 모셔야 하면 마을의 대표들이 회의를 통해 날을 받았다. 기우제의 비용은 '기우제돈'이라고 해서 집집마다 갹출하였으며, 제관과 집사를 뽑아서 제물을 장만하였다. 제물은 돼지머리와 생닭 등을 준비하였다. 기우제는 해가 질 무렵에 모셨으며, 산 위에 올라가면 해가 졌다고 한다. 제단은 산중턱에 있는 너른 바위였다. 기우제 전날 제단이 있는 금산에 젊은 사람들이 올라가서 길은 미리 정리하고, 커다란 바위에 제상을 만들고 그 옆에 불을 피울 준비를 해 두었다.

해가 질 무렵에 장만한 제물을 짊어지고 제단이 마련된 금산 중턱으로 올라가 음식을 차린 후 유교식 제의 절차로 기우제를 모셨다. 제가 끝나면 가지고 간 살아있는 닭을 칼로 목을 베어 그 피를 제단 주위에 뿌렸다. 더러운 피로 신성한 제단을 더렵혔으니 하느님께서 비를 내려 속히 씻어주라는 일종의 주술적인 비원이다. 그리고 그 닭의 머리는 땅에 파 묻는다. 그런 다음 준비해 놓은 나무 더미에 불을 지른다. 이렇게 하고 나면 3일 내로 비가 내린다고 한다. 그래도 비가 오지 않으면 낮이나 밤에 궂은 일이 없고 생리가 없는 깨끗한 여자들[대부분 할머니]이 마을 앞 개울가로 나와 키를 가지고 개울 물을 떠서 까분다고 한다. 물을 까불면서 "비가 온다. 비가 온다."라고 외치는데 약 삼십 분 가량 계속한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비를 많이 내리면 풍년이 들고, 그 곡식을 키로 까불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현황]

충효동 단위의 기우제는 1930년대 이후 단절되었고, 충효동 금산 아래 마을 단위 기우제는 1980년대 초중반까지 지내기도 하였으나, 현재는 단절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