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심죽루차구운」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4917
한자 證心竹樓次舊韻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광주광역시 북구 금곡동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고성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자 생년 시기/일시 1559년 - 고경리 출생
저자 몰년 시기/일시 1609년 - 고경리 사망
배경 지역 무등산 - 광주광역시 북구 금곡동 지도보기
배경 지역 증심사 - 광주광역시 동구 증심사길 177[운림동 56]지도보기
성격 한시
작가 고경리

[정의]

조선시대 학자인 고경리가 전라도 광주 지역에 있는 무등산 내의 증심사를 방문하고 지은 한시.

[개설]

「증심죽루차구운(證心竹樓次舊韻)」을 지은 고경리(高敬履)[1559~1609]의 자는 이척(而惕), 호는 창랑(滄浪), 본관은 장흥(長興)이다. 아버지는 고계영(高季英), 어머니는 양응기(梁應箕)의 딸이다.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1548~1631]에게 수학하였다. 1591년 사마시에 합격하였으나 송강(松江) 정철(鄭澈)[1536~1593]과 우계(牛溪) 성혼(成渾)[1535~1598]을 두둔하는 상소를 올렸다는 이유로 관직에 나아가지는 못하였다. 1676년 전라도 광주에 건립된 운암사(雲巖祠)에 제향되었다. 저서로 『창랑실적(滄浪實蹟)』이 있다.

[구성]

「증심죽루차구운」은 1구에 7자씩 모두 4구로 이루어진 칠언절구이다.

[내용]

증심죽루차구운(證心竹樓次舊韻)[증심사 죽루에서 옛 운에 차운하다]

노선심여죽구허(老禪心與竹俱虛)[늙은 선사의 마음은 대나무처럼 비었는데]/ 상엽진동객빈소(霜葉眞同客鬢疎)[길손의 성근 머리는 서리 맞은 단풍잎 같구나]/ 백족타년당상방(白足他年倘相訪)[혹시 스님과 다음에 서로 만나게 되면]/ 무릉추우병상여(茂陵秋雨病相如)[무릉의 가을비에 병든 상여 같겠지]

[특징]

「증심죽루차구운」고경리가 전라도 광주 지역에 있는 무등산 내 사찰 증심사를 방문하고 지은 칠언절구의 한시이다. 작품 말미의 “무릉(茂陵)”은 중국 전한(前漢)의 문인 사마상여(司馬相如)[B.C.179~B.C.117]가 병으로 벼슬에서 물러나 지내던 곳으로, 화자 자신의 모습을 투영해 쓸쓸한 정취를 그리고 있다.

[의의와 평가]

증심사의 승려 조선(祖禪)이 시를 적는 두루마리인 시축(詩軸)을 만들었는데, 많은 문인이 그곳에 시를 지어 적었다. 고경리「증심죽루차구운」 역시 “조선의 시축에 짓다(題祖禪軸)”라는 주가 붙어 있어 그 흔적을 짐작할 수 있게 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