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1816
한자 李邦柱
영어공식명칭 Lee Bangjoo
이칭/별칭 여경(汝擎),임중(任重),중경(重卿)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광주광역시 북구 용봉동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홍창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542년연표보기 - 이방주 출생
활동 시기/일시 1558년 - 이방주 진사 입격
활동 시기/일시 1570년 - 이방주 문과 급제
활동 시기/일시 1576년 - 이방주 대동찰방(大同察訪) 임명
활동 시기/일시 1594년 - 이방주 고부군수(古阜郡守) 임명
몰년 시기/일시 1597년연표보기 - 이방주 사망
출생지 중봉마을 - 광주광역시 북구 용봉동 지도보기
성격 문관
성별
본관 함평(咸平)
대표 관직 대동찰방|무장현감|고부군수

[정의]

조선 전기에 대동찰방, 무장현감, 고부군수 등을 역임한 광주 지역 출신의 문신.

[가계]

이방주(李邦柱)[1542~1597]의 본관은 함평(咸平)이며, 자는 임중(任重), 여경(汝擎), 중경(重卿)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종우(李從愚), 할아버지는 이정전(李庭荃), 아버지는 성균진사(成均進士) 이준(李俊)이다. 첫째 부인은 송붕표(宋弸彪)의 딸 신평송씨(新平宋氏)이고, 둘째 부인은 송정수(宋廷秀)의 딸 홍주송씨(洪州宋氏)이다.

[활동 사항]

이방주는 1542년(중종 37) 지금의 광주광역시 북구 용봉동 중봉마을에서 태어났다. 이방주는 1558년(명종 13) 불과 17살의 나이로 진사시에 입격하였으며, 1570년(선조 3) 식년시에서 갑과 3위를 차지하여 문과에 급제하였다. 과거에 급제하고 6년 뒤인 1576년(선조 9)에 대동찰방(大同察訪)에 임명되었으며, 이후 무장현감(茂長縣監)과 고부군수(古阜郡守) 등에 발탁되어 주로 외직에서 활동하였다.

이방주가 무장현감으로 있을 때, 호조에서 무장 지역의 창고를 살폈는데 황조(荒租) 1만여 섬이 부실하다는 이유로 나추(拿推)[죄인을 잡아들여 조사하는 일]되었다. 그 뒤로 이방주에 관한 자세한 행적이 확인되지 않는데, 『광주읍지(光州邑誌)』에는 송강(松江) 정철(鄭澈)의 무고함을 변호하였다는 기록이 보인다. 1597년(선조 30)에 정유재란이 일어나자, 이방주는 아들과 함께 피난을 가다가 도중에 왜적을 만나 순절하였다.

[학문과 저술]

이방주는 미암(眉巖) 유희춘(柳希春)과 가깝게 지내며 교유하였다. 유희춘의 문집 『미암집(眉巖集)』에 이방주의 이름이 자주 언급되는데, 이방주는 유희춘이 지은 『헌근록(獻芹錄)』이라는 책을 교정하였다. 『헌근록』은 유희춘이 왕의 정사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편찬한 책이다. 『광주읍지』의 내용을 참고해 볼 때 송강 정철과도 내왕한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