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부평객관」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001620
한자 富平客館
영어음역 Bupyeonggaekgwan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서울특별시 구로구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박사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한시
작가 허봉(許篈)[1551~1588]
창작연도/발표연도 조선 전기

[정의]

조선 전기 문신 허봉이 부평의 객관을 소재로 지은 한시.

[개설]

「부평객관(富平客館)」허봉(許篈)[1551~1588]이 1949년 서울특별시로 편입되기 전 구로구의 일부 지역이었던 부평군의 어느 객관에서 쓴 한시로, 『하곡집(荷谷集)』 ‘시초보유(詩抄補遺)’에 수록되어 있다. 허봉은 함경도 갑산에 유배되었다가 돌아온 후 인천과 부평 간을 오가며 생활하였는데, 이 작품은 인천으로 가는 도중에 부평의 객관에서 쓴 것으로 보인다. 벼슬길의 고단함과 함께 자신의 올바름에 대한 긍지 혹은 변호가 드러나 있다.

[구성]

7언 절구의 금체시(今體詩)이다.

[내용]

종남지척망경화(終南咫尺望京華)[남산이 지척이라 서울이 바라다 보이건만]

방해수문거로사(傍海愁聞去路賖)[바다에 곁하여 있어 길이 멀다고 근심스레 들었지]

초창환유춘우만(怊悵宦遊春又晩)[슬퍼라, 벼슬길에 봄이 또 저무는데]

석양관수정비화(夕陽關樹正飛花)[석양에 변방의 나무에 정히 꽃이 날리네]

[특징]

「부평객관」은 벼슬길의 어려움을 자연물을 빌어 토로하고 있다. 저무는 봄과 석양은 어수선한 시국을, 바르게 날리며 지고 있는 꽃은 작가 자신을 비유하는 듯하다.

[의의와 평가]

한시는 자연과의 조화로운 상태를 드러내거나 온화한 마음을 표현하는 것이 많다. 또 그러한 시들이 널리 알려져 있다. 「부평객관」은 저무는 봄과 석양, 지고 있는 꽃 등의 서경을 통해 자신의 슬픈 감정을 솔직하게 드러냈다는 점에서 개성적 위치를 차지한다고 할 수 있겠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