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000290
한자 吉州牧
영어음역 Gilju-mok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제도/법령과 제도,지명/고지명
지역 서울특별시 구로구
시대 고려/고려 후기
집필자 김덕묵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시행연도/일시 1308년연표보기
폐지연도/일시 1310년연표보기

[정의]

1308~1310년 구로 지역을 관할하던 고려시대의 지방 행정 구역.

[제정경위 및 목적]

1308년(충렬왕 34) 계양도호부(桂陽都護府)를 비롯하여 여러 곳을 목(牧)으로 승격시켰는데, 그 이유는 국가 재정의 충실을 기하기 위하여 전국에 전민계점사(田民計點使)를 파견하여 인구가 많은 지역은 임시로 목을 설치하고 그곳을 중심으로 주변 지역에 전민계점사업(田民計點事業)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것이었다. 목은 한시적으로 설치한 지방 행정 단위였다고 이해되고 있다. 그 때문에 전민계점사업이 마무리되면서 2년 뒤에는 다시 목을 철폐하는 등 읍격(邑格)을 조정하였던 것으로 볼 수 있다.

[내용]

길주목(吉州牧)은 이전에는 수주현(樹州縣), 안남도호부(安南都護府), 계양도호부로 부르던 곳이다. 태조 때 설치된 수주현은 1150년(의종 4) 읍격이 한 등급 높아져 안남도호부가 되었고, 1215년(고종 2)에는 계양도호부로 바뀌었으며 1308년 계양도호부에서 길주목으로 승격되었다. 길주목은 2년 뒤인 1310년(충선왕 2) 전국적으로 여러 곳에 달하였던 목을 정리할 때 다시 부평부(富平府)가 되었다.

당시 길주목에는 저습지가 많았던 것 같다. 계양도호부 시기에 계양부사(桂陽副使) 병마검할(兵馬黔轄)로 재직하였던 이규보의 관찰에 따르면 이 지역은 한 면만 육지와 통하고 삼 면이 모두 물이어서 마치 섬 가운데 들어온 듯하고 하였는데, 이는 지형적으로 북쪽에는 한강, 서쪽에는 경기만, 동쪽에는 저습지가 있었던 환경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고려의 지방 통치 제도가 정비되면서 주변의 속현이 차례로 떨어져 나갔는데, 길주목 당시에는 1310년(충선왕 2) 속현이던 공암현이 양천현으로 이름을 바꾸면서 현령이 설치되어 독립하였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