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부평행행시」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001622
한자 富平行幸詩
영어음역 Bupyeonghaenghaengsi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서울특별시 구로구|인천광역시 계양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박사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한시
작가 정조(正祖)[1752~1800]
창작연도/발표연도 조선 후기

[정의]

1797년 조선 제22대 왕 정조가 태평성국을 소재로 지은 한시.

[개설]

「부평행행시(富平行幸詩)」는 1797년(정조 21)에 정조(正祖)[1752~1800]가 김포의 장릉을 참배하고 계양산 경명현을 넘어서 부평 땅에 행차하였을 때 태평성국을 이루려는 자신의 의지를 밝힌 시이다. 부평은 1949년 서울특별시로 편입되기 전 구로구의 일부지역이었다.

[구성]

7언 절구의 금체시(今體詩)이다.

[내용]

계양산색극선연(桂陽山色極嬋姸)[계양각색의 그 모습은 그지없이 곱고]

백리추등상상전(百理秋登上上田)[백리들판에 풍년이 들었구나]

민부정평사가의(民富政平斯可矣)[백성이 넉넉하고 정사가 공평하니]

수능갱속무성현(誰能更續武城鉉)[뉘없이 무성현을 다시 이어받을고]

[특징]

선경후정의 시상전개를 통해 임금으로서의 자부심과 책임감을 드러낸다.

[의의와 평가]

자연의 아름답고 풍요로운 풍경과 백성의 넉넉함, 그리고 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 정사의 공평함에 있음을 알고 이를 행하고자 하는 임금의 의지가 잘 드러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조선조 유교적 한시의 한 전형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