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3001528 |
---|---|
한자 | 平生儀禮 |
영어음역 | Pyeongsaenguirye |
영어의미역 | Lifelong Ceremony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서울특별시 구로구 |
집필자 | 김영순 |
[정의]
서울특별시 구로 지역의 주민들이 일생을 거치면서 인생의 중요한 단계마다 지내는 의례.
[개설]
평생의례는 인간이 태어나면서부터 죽을 때까지 겪게 되는 의식과 예절을 말하는데, 지역과 풍습에 따라 차이가 있다. 동양에서는 주로 관혼상제(冠婚喪祭)를 사례(四禮)로 간주한다. 그렇지만 아이가 태어나기 전부터 출산의례 혹은 산육의례(産育儀禮)라고 불리는 평생의례를 행하여 왔다.
[종류]
1. 산육의례
산육의례는 아들을 낳아 집안의 대를 잇게 해 주어야 했던 여인들의 염원에서 발달한 의례이다. 가계(家系) 계승자를 얻는 것이 중요한 효도의 하나였던 조선시대에 있어서 여인은 아들을 낳아야만 후손의 도리를 다 하는 것으로 알았다. 심지어 남아를 출산하지 못하는 여인은 이른바 칠거지악(七去之惡)의 한 가지에 들어 시집에서 쫓겨나기도 했다. 따라서 우리 조상들은 일찍부터 아기를 점지해 주는 것은 어떤 신비로운 힘이거나 또는 남에게 좋은 일을 하여 공덕을 쌓은 결과라고 생각했다. 그리고 그 힘은 삼신할머니 같은 신(神)이라고 믿기도 하고, 험상궂고 묘하게 생긴 바위일수록 영험이 있다고 여겼다. 이렇게 해서 아기가 태어나면 대문에는 금줄[또는 인줄]을 걸어 다른 사람들의 출입을 제한했다. 남아인 경우에는 줄에 붉은 고추와 숯덩이를 끼워 두고, 여아는 솔잎과 종이를 달아 둔다.
2. 삼칠일
아기가 태어난 지 21일째 되는 것을 축하하는 날이 삼칠일이다. 전통 사회에서는 의학이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산모는 물론 영아의 사망률이 높았다. 특히 해산 후 삼칠일이 고비였다. 이 시기 동안 산모는 해산 후 감염이나 하혈 등의 후유증으로 위험한 상태에 이르기 쉬웠고, 아기 역시 질병 감염, 배꼽 화농 등으로 목숨이 위태로운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삼칠일은 아기의 배꼽이 아무는데 소요되는 시일이면서 동시에 산모 건강의 회복기라고 보았다. 집안의 어른들은 삼칠일이 지나야 비로소 아기를 친척들에게 보여 주었고, 산모 역시 삼칠일이 지나야 하루 6회 먹던 산식을 3~4회로 줄여서 먹었으며, 이때부터 가벼운 집안일을 거들게 했다.
3. 백일과 돌
아기가 태어나 100일째 되는 날을 백일이라고 불렀다. 그리고 이날에는 백설기와 수수떡, 인절미 등을 준비하여 축하한다. 이와 같은 백일 풍습은 지금까지도 내려오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100이란 숫자는 완전한 수, 성숙된 수라는 개념으로 사용되었다. 게다가 백일은 아기와 산모에게 삼칠일 다음으로 위험한 고비라고 여겨 100일이 지나야 아기와 산모 모두 세상살이를 위한 준비를 마쳤다는 의미로 축하 잔치를 한다.
아기가 태어나서 만으로 한 해가 되는 첫 생일을 첫돌이라 한다. 첫돌에는 돌상을 차려 주고 돌잡이를 시키며, 손님을 초대하여 축하해 준다. 첫돌의 의미는 아기의 첫 생일임과 동시에 산모의 몸이 완전히 회복되었음을 알리는 것이었다. 아기는 세 번째의 위험한 고비를 무사히 넘겼고, 산모 역시 해산 후 1년이 지났으므로 몸의 모든 기능이 완전히 회복되었다고 보아서 이를 축하했다. 요즘에는 백일과 돌에 축하 잔치를 하면서도 그날은 아기를 위한 날이라고만 알고 있는데, 사실은 산모의 건강 기원의 의미가 함께 담겨 있다.
4. 책례
책례는 현재 사라진 풍속 가운데 하나인데, 아이가 서당에 다니면서 책을 한 권씩 땔 때마다 행하던 의례이다. 책례 의식은 어려운 책을 끝냈다는 축하와 격려의 뜻으로, 다른 음식과 함께 떡을 푸짐하게 만들어서 선생님과 친지들이 함께 나누었다.
5. 관례
아기가 자라 성인이 되면 관례를 치르는데, 이를 성인식이라고 한다. 전에는 남자 20세, 여자 15세가 되면 성인 대접을 받았다. 주례자가 성인이 되는 것과 벼슬을 하는 것을 가르치고, 식이 끝나면 사당에 고하고 술잔을 올린다. 요즘은 성년식이라고 해서 만 20세가 된 젊은이들에게 자각과 긍지, 사회인으로서의 책임과 의무를 일깨워 주고 어른이 된 자부심과 용기를 심어 주기 위하여 행하는 의식으로, 성년의 날 행사는 5월 셋째 월요일에 행하여진다.
6. 혼례와 회갑연
혼례는 남녀가 부부의 인연을 맺는 일생일대의 중요한 의식으로, 예전에는 육례라고 하여 여섯 단계로 되어 있었다. 혼례를 치루고 자식을 낳아 기르며 살아가다 나이 61세에 이르게 되면 회갑을 맞는데, 이때 마련하는 축하 잔치가 바로 회갑연이다. 회갑은 자기가 태어난 해로 돌아왔다는 뜻으로 ‘환갑’이라고도 하고, ‘화갑’이라고도 한다.
7. 상례와 제례
부모님이 수를 다하여 돌아가시면 자손들은 경건하고 엄숙하게 예를 갖추어 의식 절차에 따라 장사를 지내게 되는데, 이것이 상례이다. 사람이 한 세상을 살다가 돌아가시면 고인을 추모하는데, 소상·대상이 지나면 해마다 죽기 전날을 제삿날로 정하여 제상을 차려 놓고 고인을 기린다. 이를 제례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