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3001522 |
---|---|
한자 | 祭禮 |
영어음역 | Jerye |
영어의미역 | Ancestral Ritual Formalities |
이칭/별칭 | 제사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서울특별시 구로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영순 |
[정의]
서울특별시 구로 지역에서 돌아가신 조상을 받들어 복을 빌기 위해 행하는 추모 의례.
[개설]
효(孝) 사상을 중히 여기는 우리 민족은 돌아가신 조상의 위패를 각 가정의 사당이나 사찰에 모셔 두고 돌아가신 날과 명절에는 그 계절의 가장 좋은 음식을 제상(祭床)에 올리고 일가친척들이 한자리에 모여 고인(故人)을 기린다. 이를 제례라고 한다.
[구분]
제사에는 상중에 지내는 우제(虞祭), 소상(小祥), 대상(大祥), 담제(禫祭) 등이 있는 데, 이는 상례 혹은 장례 때 행하게 된다. 이외에 연중행사로서 시제(時祭), 차례(茶禮), 기제(忌祭), 묘제(墓祭) 등이 있다. 시제는 춘하추동 사시정제라 해서 지냈던 것으로 근래에는 거의 없어지고 있다. 차례는 절후에 따라 지내는 제사이며, 요즘은 시제 대신 지내고 있다. 보통은 설과 추석에만 지낸다.
기제는 별세한 날 지내는 제사로 자시(子時), 즉 밤 12시부터 새벽 1시 사이에 행한다. 하지만 요즘은 일몰 후 적당한 시간 혹은 저녁 식사 전에 지내는 가정이 많다. 묘제는 시조 때부터 모든 조상의 묘소에 가서 지내는 제사로 대개 한식이나 그렇지 않으면 시월상달이라 해서 음력 시월에 날짜를 정하여 지낸다. 현재 구로 지역에서는 이와 같은 제례의 분류 중 시제와 묘제가 혼합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시제를 사철마다 지내는 것이 아니라 시월상달에 날을 잡아 지내기 때문이다. 즉 시제를 묘제의 형태로 간소하게 치루는 것을 볼 수 있다.
[절차]
윤휴(尹鑴)[1617~1680]의 『백호전서(白湖全書)』제31권, 「잡저(雜著)」의 제례(祭禮) 조를 보면 제례를 시제와 시조제(始祖祭)로 나누어 준비하는 과정과 진행하는 과정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제례의 전체적인 과정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하루 전날 제기를 모두 챙기고 제물을 장만한다. 다음날 먼동이 틀 무렵 일찍 일어나 나물, 과일, 기타 제물을 차린다. 대문 안팎에 줄지어 서서 신주를 모시고 제사 모실 자리로 나온다. 자리가 정해지면 재배한다. 이를 참신(參神)이라고 한다. 그리고 신을 내려오게 하고 어육과 쌀, 면, 국밥, 고기 등을 차린다. 그 후 조상에게 술과 음식, 고기 등을 드리는 과정을 세 번 한 후[초헌(初獻), 아헌(亞獻), 종헌(終獻)] 조상신이 내려와 식사를 할 수 있게 밥에 숟가락을 꽂아 준다[유식(侑食)]. 그리고 조용히 드실 수 있게 문을 닫고 밥 한 끼를 먹을 시간 동안 사당 밖에 나가서 기다린다[합문(闔門)]. 얼마 후 축관이 올라와 세 번 기침을 한 다음 문을 열고 사당에 올라가 국을 물리치고 차를 올린다[계문(啓門)]. 그 후 제사 음식을 나누어 먹는다[수조(受胙), 준, 사신(辭神)].
시조제의 과정도 시제의 과정과 비슷하다. 제사를 진행하기 위하여 술과 현주(玄酒)[맑은 물]를 마련한다. 그 후 제사가 시작되면 마치 산 사람에게 하는 것과 같이 신위에 잔을 올린다. 제사가 끝나면 제의에 참석한 모든 이들이 남은 음식과 술을 나누어 먹는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구로 지역에서는 제사 후에 술을 함께 나누는 것을 ‘음복’이라고 하며, 제사상에 올렸던 차나 숭늉을 아이들에게 먹인다. 이는 조상신이 함께 하여 무서움을 없애 준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