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나이떡먹기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001495
영어음역 Naitteok Meokgi
영어의미역 Eating Rice Cake of Growing old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지역 서울특별시 구로구
집필자 김영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세시풍속
의례시기/일시 음력 2월 1일

[정의]

서울특별시 구로구에서 가족들 각각의 나이 수대로 떡을 만들어 먹는 풍속.

[개설]

원래 나이떡이라 함은 음력 2월 초하룻날 집안에서 부리는 머슴들에게 나이 수대로 먹이는 떡을 말한다. 이날을 속칭 노비일(奴婢日), 혹은 나이떡 먹는 날이라고 하였다. 나이떡은 설날의 떡국과 유사한 의미로 나이를 먹는 떡으로도 해석되었다. 그렇지만 서울과 충주 지역에서는 가족의 나이 수대로 쌀을 숟가락으로 떠서 송편을 만들어 먹었다.

[연원 및 변천]

『경도잡지(京都雜志)』 및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 따르면 “2월 초하룻날에는 정월 보름에 세웠던 볏가릿대[화간]를 내려 솔잎을 겹겹으로 깔아 떡을 만들어 노비들을 먹인다. 나이 수대로 먹이므로 속칭 이날을 머슴날[노비일]이라 한다. 농사일이 이때부터 시작되므로 노비들에게 먹이는 것이라 한다.”는 기록이 있다. 이 날 마당에 세워둔 볏가릿대를 헐어 이를 장식했던 곡식으로 떡을 해먹고 논다. 볏가릿대에 꽂은 나락은 풍작을 상징한 것이고, 2월부터 본격적으로 농사를 시작해야 하기에 풍년을 기원하고 하루를 즐기는 것이다. 이렇게 머슴들을 하루 쉬게 하고 즐겁게 놀도록 한 데서 나이떡 먹는 풍속이 유래된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시대적 변화에 따라 노비 혹은 머슴이 없어지면서 노비일 행사로 나타났던 나이떡이 세간으로 확대되어 일반 가정에 나타나는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절차]

구로의 주민들은 2월 초하룻날 아침에 쌀로 나이떡인 송편을 빚어서 먹었다. 송편의 소로는 주로 팥이나 참깨 등을 넣는다. 송편은 나이 수대로 빚기 때문에 숟가락으로 조그맣게 만든다. 노인들은 자기 나이만큼 송편을 먹지 못해도 나이 수만큼 담아 드리기도 하고 가정에 따라 적당히 담아 드리기도 하였다. 나이떡은 동네 사람끼리 나누어 먹기도 하였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정영애[여, 76]에 따르면, 서울시 구로구 오류동천왕동 일대에서는 “설날에 떡국을 먹었어도 2월 초하루에 자기 나이 수만큼 송편, 즉 나이떡을 먹어야 한 살 더 먹게 된다.”라고 하였다. 나이떡을 먹는 것은 전국적으로 행해지던 풍속으로 구로 지역도 거의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다. 정영민[여, 73]에 의하면, 구로의 일부 지역에서는 쌀로 만든 송편이 아닌 수수팥떡으로 나이떡을 빚어 먹었다고 한다. 이는 수수떡이 붉은 색을 띠므로 액을 막는 기능을 한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