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600976 |
---|---|
한자 | 蠶業 |
영어의미역 | Sericulture |
분야 |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전라북도 김제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강남호 |
[정의]
전라북도 김제시의 산업 중 고치를 생산하기 위해 뽕을 길러 누에를 치는 업종.
[개설]
잠업(蠶業)은 오랜 고대로부터 우리 민족의 중요한 산업으로서 발전해 왔다. 특히 1960년대에는 국가 경제의 밑거름이 될 정도였으며 당시 김제 지역은 우리나라 최고의 잠업 단지였다. 그러나 잠업은 1990년을 기점으로 국제 경쟁력을 상실함과 더불어 사양 산업으로 전락하게 되었고 1996년 이후로는 양잠 산업이 아닌 기능성 식품 산업으로 방향을 전환하여 여러 가지 관련 제품을 개발 및 생산하고 있다.
[변천]
1960년대에 김제 지역은 우리나라 최고의 잠업 단지였다. 당시 김제 지역이 잠업의 주산단지로 부각된 것은 급격한 산업화로 인해 발생하는 농어촌과 도시 간 소득 격차를 해결하기 위한 도농 균등화 정책의 일환인 농공 병진 정책과 농어촌의 근대화 및 농어민 소득 증대 정책에 기인한 것이었다.
당시 김제군은 정부가 추진하던 호남야산개발사업으로 정부로부터 많은 보조금과 융자금을 받아 뽕나무를 심게 되었으며 그 결과 우리나라 최고의 잠견 생산지가 되었다. 즉 호남 야산 개발로 막대한 상전(桑田)이 조성됨에 따라 1968년 8월 김제시 검산동에 제사공장이 설립되었으며 1975년에는 생사 생산 연 278톤에 외화 수입 8,386,000달러에 이를 정도였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1975년 김제군 잠업 현황
그러나 싼 품삯으로 노동력을 구해 사육해야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는 잠업은 급격한 산업화로 인한 농촌 인구의 도시 이동으로 품삯이 크게 상승한 데다 중국산 누에고치가 싼 가격으로 수입되면서 1990년대에 이르러 사양세로 접어들게 되었으며 김제 지역의 잠업도 예외일 수는 없었다.
[현황]
현재 김제시 전체 누에 사육 농가는 9농가로 26장을 사육하고 있으며 3령 때 건조하여 환(丸)과 같은 건강식품으로 생산 판매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 김제시의 잠업은 기능성 건강식품 생산에 한하고 잠견 생산은 전무한 상태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