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600665 |
---|---|
한자 | 歸信寺浮屠 |
영어의미역 | Monk Stupa of Gwisinsa Temple |
분야 |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탑과 부도 |
지역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청도리 205[우림로 87-64] |
시대 | 고려/고려 |
집필자 | 나종우 |
문화재 지정 일시 | 1974년 9월 27일 - 귀신사부도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63호 지정 |
---|---|
문화재 지정 일시 | 2021년 11월 19일 - 귀신사부도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재지정 |
성격 | 부도 |
양식 | 팔각원당형 |
건립시기/연도 | 고려시대 |
재질 | 화강암 |
높이 | 2.50m |
소재지 주소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청도리 205[우림로 87-64] |
소유자 | 귀신사 |
문화재 지정번호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
[정의]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청도리 귀신사 앞에 있는 고려시대 승탑.
[개설]
부도는 승려의 무덤을 상징하며 그 유골이나 사리(舍利)를 모시는 묘탑이다. 우리나라에서는 당나라로부터 선종이 들어온 9세기 이후에 각 구산선문(九山禪門)에서 법통(法統)이 이어지면서 불상 숭배보다는 조사(祖師)들의 사리와 유골을 담은 묘탑이 중요한 예배 대상이 되어 많은 부도가 건립되었다. 일반적으로 부도는 석탑과 마찬가지로 기단부, 탑신부, 상륜부로 구성되어 있다.
[위치]
귀신사부도는 귀신사에서 남쪽으로 500m쯤 떨어진 청도리 입구 논 한가운데 자리하고 있다.
[형태]
귀신사부도는 화강암으로 만들어졌으며, 높이는 2.50m이다. 팔각원당형(八角圓堂型)의 기본 형식을 갖추고 있으며, 지대석과 중대석은 모두 팔각형이고, 앙련(仰蓮)이 조각된 팔각 상대석 위에 탑신석(塔身石)을 얹고, 그 위에 역시 팔각의 옥개석(屋蓋石)을 얹었다. 옥개석은 팔각형으로 두껍고 투박하지만 각 모서리의 끝부분을 약간 반전(反轉)시켜 경쾌한 느낌을 준다.
옥개석 하단의 서까래 장식이나 지붕 위의 기왓골의 모습은 찾아볼 수 없다. 정상부에는 앙화(仰花)와 보륜(寶輪) 대신 보주형(寶珠形)의 석재만을 올려 상륜부를 마감하였다. 중대석의 높이는 55㎝, 그 한 변의 길이는 20㎝, 상대석의 높이는 42㎝, 탑신부의 높이는 63㎝, 옥개석의 높이와 한 변의 길이는 각각 42㎝, 보주의 높이는 20㎝이다. 하대석은 땅에 묻혀 있다.
[현황]
귀신사부도는 1974년 9월 27일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63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전라북도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현재 귀신사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부도의 주인공은 알 수 없으며, 각 부재(部材)의 비례가 고준(高峻)한 느낌이 있고 옥개나 앙련의 조각은 소박한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