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6C030105
지역 전라북도 김제시 죽산면 홍산리 내촌마을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선희

내촌마을에는 유독 큰 집에서 덩그러니 홀로 사는 할머니들이 많다. 강순례[1927년생] 할머니도 마찬가지이다. 부안 백산이 친정인 할머니는 열일곱 살 때 얼굴도 한 번 본 적 없는 할아버지와 혼례를 올리고, 하루도 되지 않아 바로 시댁으로 왔고, 현재까지 그곳에서 살고 있다.

[온 가족이 방 한 칸, 부엌 한 칸에서 살았어]

처음 내촌으로 시집 왔을 때, 집은 방 한 칸, 부엌 한 칸이 전부였다. 열아홉 살에 첫딸을 낳은 뒤부터 8남매를 낳을 때까지 할머니는 단칸방을 벗어나지 못했다. 동네에서는 그런 할머니를 두고, 시어머니랑 함께 방을 쓰면서 어찌 그리 아이를 낳을 수 있냐며 비아냥거리는 말도 많이 했다. 스스로를 어리석었다고 책망하기도 했지만, 가난하게 살았던 이유로 먼저 보낸 자식 3명 때문에 자식 욕심은 더했다.

“그 머시냐, 보건손가 어디선가 줬던 산아 제한 약이 없었으면 그 뒤로도 계속 낳았을 꺼여.”

약국도, 병원도, 그나마 보건소도 멀리 있어 세 명의 아이를 손 한 번 쓰지 못한 채 보내고 난 뒤, 부부에겐 무엇보다도 아이들을 위해 집이라도 제대로 갖추고 살자는 생각이 컸다. 그리하여 47년 전[1962년] 시어머니가 돌아가신 뒤 부부는 집을 새로 짓기 시작했다. 차곡차곡 농사지어 모아 둔 쌀을 팔아 비용을 마련했다. 그것만으로는 부족해 빚을 내어 안채를 지었다. 안채를 짓기 위해 진 빚을 갚고 난 3년 쯤 뒤에 부속채를 지었다.

그러다 보니 어느새 방 4칸에 축사와 창고까지 요모조모 쓸모 있는 공간은 모두 들어갔다. 커 가는 아이들이 부모와 함께 방을 쓰며 공부하는 데 불편할까 봐 딸들 따로, 아들들 따로 쓸 수 있는 방을 만들었고, 남는 방엔 누에를 키워 직접 직물을 짜 아이들 옷을 해 입히기도 했다.

[할아버지의 정이 서려 있는 집]

방마다 아이들이 커 가던 기억이 고스란히 담겨 있는 할머니의 집은 50년 가까이 되었음에도 여전히 튼튼하다. 짚을 쌓아 두었던 잿간, 돼지를 키웠던 축사, 화장실, 곳간, 헛청 등 기능별로 공간도 그대로 남아 있다. 당대 장롱을 대신했던 벽장이 마루와 방에 그대로 남아서 여전히 기능을 하고 있다.

지금은 기능이 달라졌지만 땔감을 저장해 놓고 가마솥에 불을 지폈던 오래전 부엌 모습도 여전하다. 방 한편에는 이제는 볼 수 없는 1970년대 카세트플레이어와 다이얼을 돌리면 소리를 내며 열리는 녹슨 금고도 있다.

무엇보다도 대문을 열고 들어가면 바로 보이는 우물이 눈에 띈다. 공동 우물에서 물을 길러야 했던 아내의 노고를 덜고자 할아버지가 직접 파서 만든 것이다. 부엌 바로 앞에 놓여 있는 우물물은 밥을 짓고 빨래를 하는 등 집안 생활에 유용했는데, 우물 만들던 날 아들이 직접 새긴 제작 일자[1977년 5월 20일]가 우물의 나이를 가늠케 해 준다.

마을에 할머니들 혼자 살고 있는 집이 비단 강순례 할머니 집 뿐은 아니지만, 세간이며 집 구조며 현대식으로 바뀐 집들 속에 허름해 보이면서도 마치 1970년대 영화 속 한 장면을 연상케 하는 이 집은 보물 창고같다.

할머니 홀로 지내기엔 벅찬 공간은 아닐까 생각되지만 명절에 손자들까지 내려오면 오히려 좁다며, 할머니는 부지런히 집안 곳곳을 살핀다. 뒷마당은 자식들 옷을 해 입히려고 키웠던 뽕나무를 대신해 배추와 양파, 파 등이 자라고 있으며, 앞마당은 수확한 여러 잡곡과 채소 등을 말리는 데 이용된다. 늘 무언가가 놓여 있는 이 집의 마당에는 할아버지가 생전에 심어 놓은 감나무가 홀로 지내는 할머니의 외로움을 달래 주고 있었다.

[정보제공]

  • •  강순례(여, 1927년생, 홍산리 내촌마을 재너머 주민)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