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601666
영어음역 Geolgu
영어의미역 Mortar
이칭/별칭 절고,도구통,도구,절기방아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물품·도구/물품·도구
지역 전라북도 김제시
집필자 김승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농기구
재질 나무|돌|쇠
용도 곡식 분쇄

[정의]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곡식을 빻거나 찧는 데 쓰는 용구.

[개설]

통나무나 돌의 속을 파낸 구멍에 곡식을 넣고 절굿공이로 찧는다. 옛말로는 ‘절고’로 표기되었고, 지역에 따라 ‘도구통’, ‘도구’, ‘절기방아’라 부른다.

[연원 및 변천]

절구는 통나무나 돌 또는 쇠로 만들며, 그 재료에 따라 ‘나무절구’, ‘돌절구’, ‘쇠절구’ 등으로 구별하여 부른다. 어느 것이나 윗부분에 우묵한 구멍이 있다. 공이도 세 종류의 물질로 만든다. 나무절구의 바닥에는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구멍 바닥에 우툴두툴한 쇠판을 깔기도 한다.

[형태]

쇠절구는 규모가 작으며 주로 양념을 다지는 데에 쓴다. 나무절구 중에도 이와 같은 것이 있는데 이를 ‘양념절구’라고 한다. 나무절구는 위아래의 굵기가 같은 것이 대부분이나 남부 지방에서는 허리를 잘록하게 좁힌 것을 많이 쓴다. 이에 비하여 돌절구는 상부에 비하여 하부를 좁게 깎으며, 특히 아랫부분을 정교하게 다듬고 조각을 베풀기도 한다.

절구의 크기나 형태는 지역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인다. 특히 제주도의 절구는 돌을 쪼아 만든 확의 주위에 큰 함지박을 끼워놓은 점이 특이하다. 이것은 곡식이 확 밖으로 튀어나와도 이내 다시 쓸어 넣을 수 있도록 만든 것이다. 돌절구에는 돌공이를, 쇠절구에는 쇠공이를, 나무절구에는 나무공이를 쓰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제주도에서는 확이 돌임에도 나무공이를 쓰는데 이 절구를 ‘남방애’라고 부른다. 공이의 재료나 모양도 절구에 못지않게 다양하다. 나무공이는 위아래가 둥글고 손에 쥘 부분만 파내었다. 또 지역에 따라서는 공이의 끝부분에 돌을 박아서 쓰기도 한다. 돌공이는 공이 끝에 나무 자루를 박으므로 자루와 몸이 직각을 이룬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