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601652 |
---|---|
영어음역 | Boriholtae |
이칭/별칭 | 보리훑이,클,첨치,천치 |
분야 | 생활·민속/생활 |
유형 | 물품·도구/물품·도구 |
지역 | 전라북도 김제시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
집필자 | 박진화 |
[정의]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보리의 줄기에서 이삭을 따내는 데 사용되는 농기구.
[개설]
보리홀태는 보리의 알곡을 터는 농기구로 클, 보리훑이, 그네, 첨치, 천치(千齒)라고도 불리었다. 머리빗과 비슷한 모양으로, 쇠로 된 긴 이빨 20여 개를 틀에 박아 다리 4개를 여덟 팔(八)자 모양으로 단 다음 이빨 사이에 보리를 끼우고 잡아 당겨 훑음으로써 곡식의 알갱이를 떨어뜨리는 것이다. 작업 중에 틀이 흔들리지 않도록 앞다리 가운데에 나무를 가로 대고 다른 나무로 이것을 디디도록 발판을 달기도 한다.
[연원 및 변천]
1930년경부터 사용되었으나 기계화된 영농법이 시행되면서 보리홀태를 보기 어렵게 되었다.
[형태]
통나무를 대충 다듬고 지름 10㎜ 정도의 원형 철을 촘촘히 박아 놓은 형태이다. 쇠가락이 둥그렇게 생겼는데 보리홀태의 모양이 실이 감기는 쇠꼬챙이인 가락을 두고 ‘가레기’라고 하는데 마치 가레기처럼 생겼다고 해서 ‘가레기홀태’라고도 부른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보리를 훑는 보리홀태가 보급되기 전에는 줄기와 이삭을 분리하지 않은 채 도리깨로 탈곡하는 수도 있었다. 일단 보릿단을 묶은 채로 도리깨로 타작해 낟알을 떨어내고 나서 다시 단을 풀어 놓고 타작했다. 이때 도리깨로만 비껴 두들겨 가며 짚을 뒤엎었는데, 이 일을 ‘림질’이라고 했으며 기술을 요하는 일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