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601353
한자 金堤右道農樂
영어공식명칭 Gimje Udo Nongak
이칭/별칭 김제농악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전라북도 김제시 부량면 대평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서홍식

[정의]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 호남우도농악의 한 지류로 분포되어 있는 농악.

[개설]

김제우도농악은 일찍부터 각 마을에서 대동굿으로 오랫동안 전승되어 오다가 김도삼, 나도숙, 현판쇠, 백남윤 등에 의하여 좀 더 전문적인 예인 집단 형태로 발전한 농악이다. 이를 ‘김제농악’이라고도 부르며, 현재는 정읍농악과 밀접한 관계 속에서 전승 발전되고 있다. 김제우도농악의 특징은 농악대의 구성에 있어서 쇠와 장구를 주된 악기로 사용하고 큰 북을 사용하지 않으며 평야 지역의 두레굿이 발달되어 있다는 것이다.

[김제우도농악의 위상]

김제시는 우리나라 수전 농업의 기원을 이루며 농경문화의 꽃을 피웠던 동양 최고, 최대를 자랑하는 ‘벽골제’가 있는 곳이다. 호남평야의 중심에 있는 김제의 금만평야는 국내 어느 곳보다 물과 밭의 기원을 이루어 토착 문화의 요람지이며 쌀농사의 본고장이라 하겠다. 따라서 김제에는 농경문화에서 창출된 여러 민속놀이가 있는데, 그 중에 대표적인 것이 ‘입석 줄다리기’와 ‘벽골제 쌍용놀이’, 그리고 ‘농악’ 등이다.

김제농악은 전형적인 ‘호남우도농악’으로 유명하다. 이 지역에서는 명절이나 칠월 호미씻기가 되면 각 마을 단위로 농악놀이가 성행했다. 특히 추석에는 두 마을의 줄다리기와 함께 농악놀이 경합이 매우 극렬했다. 이 농악놀이 경연에서 지는 마을은 이기는 마을의 세금을 부담하는 경우까지 있었다고 한다. 이 놀이는 일제강점기 말기에 중단되었고, 지금은 각 마을 단위의 농악놀이가 있을 뿐이다.

호남우도농악은 김제·정읍·고창·영광·장성·화순·보성·고흥 등 전라도의 서남부 지역에 전승되는 농악으로 정읍·장성 지방이 중심이 된다. 편성은 영기·농기·나발·쇠납·상쇠·부쇠·종쇠·수징·부징·수장구·부장구·종장구·수북·부북·수법고·부법고·종법고·끝법고·대포수·창부·조리중·양반·할미광대·비리쇠·무동 등으로 구성된다. 꽹과리잡이는 바지저고리에 색드림을 하며, 색동이 달린 홍동지기라는 붉은 덧저고리를 입고 부포상모를 쓴다. 징·장구·북·소고잽이는 홍동지기에 고깔을 쓰고, 대포수는 철릭과 같은 대포수 옷을 입으며 커다란 대포수 관을 쓰고 조총을 메고 망태를 든다.

장단은 쇠가락에는 오채질굿·외마치질굿·느린삼채·자진삼채·두마치·세산조시·호호굿·풍류굿·다드래기 등이 있다. 다른 지방에 비하여 느린 가락이 많으며, 맺고 푸는 가락을 써서 리듬의 변화가 다양하다.

판굿은 우질굿·좌질굿·을자진(乙字陣)·오방진·쌍방울진·호호굿·다드래기·미지기·짝두름·일광놀이·영산다드래기·개인놀이·잡색놀이·소리굿·도둑재비·부넘기·탈복굿으로 구성된다. 호남우도농악은 쇠가락·춤사위·판굿놀이의 변화가 다양하고 흥겹다.

[우도농악의 명인 박판열]

박판열(朴判烈)은 김제시 부량면 대평리 대장마을에서 1916년에 태어났다. 지금까지 김제농악의 원로 예능 보유자로서 전설적인 농악인인 김제시 부량면 출신의 상쇠 안재홍에게 1927년부터 10년간 사사받았다. 20세부터 틈틈이 정읍시 영원면의 장구잽이 이명식에게 10년 동안 장구를 전수받아 장구잽이로 면모를 갖추었다.

1951년에는 정읍여서농악단에서 1년간 활동하였고, 1978년부터는 김제입석농악단을 조직하여 육성하고 있다. 그리고 정읍시 내장면에서 이정범이 설립한 정읍여성농악단에서 1년 동안 생활을 하였다. 1979년 제12회 전주대사습 농악 부문 장원을 차지하여 세상에 ‘김제농악’을 선보였으며, 전라예술제 일환으로 열린 전국농악경연대회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했다. 또 제10회 전북시군농악경연대회에서 개인 연기상을 수상하는 등 ‘김제우도농악’을 지킨 장구잽이로 유명하다.

박판열은 다른 장구잽이와 줄을 지어 돌아가는 놀이인 멍석말이·도래진·좌우치기·가새진 등과 같은 놀이 외에 쇠잽이놀이·장구잽이놀이·벅구잽이놀이 등과 같은 개인 솜씨를 보여준다. 특히 느린 굿거리, 활발한 동살풀이, 구성진 구정놀이, 흥겨운 덩덕궁이, 격렬한 다드래기의 가락을 달고, 맺고, 풀며, 몰아가는 모습은 그야말로 명인 그 자체이다.

또한 그가 갖는 ‘장구놀음’은 본래 상쇠와 마주 서서 가락을 주고받는 짝두름이 대부분이지만 장구잽이 혼자서 판을 길게 벌이는 설장구 놀음에 특히 강한 면모를 보여준다. 생존해 있는 ‘호남우도농악’, 특히 ‘김제농악’ 장구잽이 중에서 가장 원로인 박판열은 그 예능 또한 가장 뛰어난 인물이며, 김제 지역에서 성행한 두레굿의 가락과 공연 방식을 체득하고 있어서 ‘김제농악’의 보존과 계승이라는 차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참고문헌]
이용자 의견
문** 좀더자세한내용을접하고싶은데아쉬습니다 2011.05.31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