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601343
한자 國樂
영어의미역 Traditional Music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전라북도 김제시
집필자 서홍식

[정의]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조상 대대로 전승된 고유한 전통음악.

[개설]

국악을 크게 분류하면 궁정악(宮廷樂)과 민속악(民俗樂)으로 나눌 수 있다. 궁정음악에는 악장(樂章)이 있고, 기악(器樂)에는 제례악(祭禮樂)·연예악(宴禮樂)·군악(軍樂) 등이 있다. 민속음악에는 성악(聲樂)과 기악이 있는데 이를 다시 나누면 성악에는 가곡(歌曲)·가사(歌詞)·시조(時調)·판소리·잡가(雜歌)·민요(民謠)·범패(梵唄) 등이 있고, 기악에는 풍류(風流)·산조(散調)·농악(農樂)·무악(巫樂) 등이 있다.

전라북도 지방이 국악의 발상지라고 말하는 것은 역사적인 배경과 그럴만한 연유가 있다. 먼저 판소리의 발원지가 전라도이며, 타 지역에 없는 ‘대사습’이라는 광대 판소리 대회가 이 고장에만 있었다. 또한 국악의 명인을 국내에서 가장 많이 배출하였다는 사실이다.

[전통시대 전라북도 지역의 국악]

1610년(광해군 2) 임실에서 「양금신보(梁琴新譜)」가 만들어졌으며, 순조(純祖) 때에 고창의 신재효(申在孝)[1812~1884]가 판소리를 정립하여 「춘향가」, 「심청가」, 「흥보가」 등을 총정리하였다. 조선조 말엽에는 운봉의 송영록(宋榮錄)·송광록(宋光錄) 형제를 비롯하여, 익산의 권삼득(權三得)[1772~1841] 등 명창을 많이 배출하였다. 또한 김제의 조인갑(趙仁甲)은 1876년 고종 때에 궁중연례(宮中宴禮) 등에 참가하여 고종의 찬탄을 받은 명고(名鼓)로 유명하다.

[현재 김제의 국악 활동]

김제의 국악이 체계적으로 발전하게 된 것은 1966년 김제국악원을 설립한 이후부터이다. 초대 안길용(安吉龍) 원장으로 시작한 김제국악원은 김제 지역의 국악예술의 창달과 후진양성에 힘을 쓰고, 전국시조대회를 개최하는 한편 김제시 각 읍면을 순회하며 국악잔치를 개최하였다.

1969년 10월에는 벽성예우회를 창립하여 활발한 활동을 전개했으며, 1970년 11월에는 한국국악협회 김제시지부를 탄생시켜 김제 국악의 발전에 큰 전기와 기틀을 마련하였다. 1971년 4월에는 김제시우회가 주최하는 전국시조대회를 열었으며, 1972년 10월에는 벽골문화제에 단야낭자(丹若娘子)의 비련을 창으로 구성하여 지역 사람에게 발표하였다.

1973년 10월에는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김제시지부가 주최하는 향토문화예술제전에 국악잔치를 비롯하여 전국시조경창대회 등을 열었다. 이후 지속적으로 시조대회 및 민속백일장 등을 개최하여 우리 고유의 국악을 김제 시민에게 보급하는 노력을 지속적으로 전개해 나가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