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600817 |
---|---|
한자 | 震默大師 |
영어의미역 | Buddhist Monk Jinmuk |
이칭/별칭 | 일옥(一玉) |
분야 | 종교/불교,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종교인 |
지역 | 전라북도 김제시 만경읍 화포리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이창섭 |
성격 | 승려 |
---|---|
출신지 | 전라북도 김제시 만경읍 화포리 |
성별 | 남 |
생년 | 1562년(명종 17) |
몰년 | 1633년(인조 11) |
[정의]
조선 전기 전라북도 김제 출신의 승려.
[활동사항]
진묵대사(震默大師)[1562~1633]는 1568년(선조 1)에 봉서사(鳳棲寺)에서 출가하였는데, 사미승(沙彌僧)일 때 신중단(神衆壇)의 향을 피우는 직책을 맡았다. 그날 밤 주지의 꿈에 부처가 향을 피우니 제천(諸天)은 받을 수 없노라는 말이 있었다고 한다. 그때부터 진묵의 신이로움이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고, 그 뒤 일정한 주처 없이 천하를 유람하였다. 변산(邊山)의 월명암(月明菴), 전주의 원등사(遠燈寺), 대원사(大元寺) 등에 있었다. 신통력을 많이 가지고 있어서 이적(異蹟)을 많이 행하였다고 전한다.
[학문과 사상]
경전 중 『능엄경(楞嚴經)』을 즐겨 읽었고, 좌선삼매(坐禪三昧)에 빠져 끼니를 거르기 일쑤였으며, 술을 좋아하여 늘 만취하였으므로 스스로 비승비속(非僧非俗)임을 자처하였다. 그가 남긴 유일한 게송(偈頌)은 술에 관한 것이었다. 유학에도 매우 박식하였다. 여래(如來)의 옹신(甕身)으로서 선(禪)과 교(敎)를 아울러 수행한 인물로 평가되고 있다.
[저술 및 작품]
저술은 없으나 조선 후기의 승려 의순(意恂)이 구전되어오던 것을 정리하여 진묵대사에 대한 유일한 자료인 『진묵조사유적고(震默祖師遺蹟考)』라는 책을 남겼다.
[묘소]
전라북도 완주군 용진면 간중리 봉서사(鳳棲寺)에 부도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