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600436 |
---|---|
한자 | 靑蝦蓴菜 |
영어의미역 | Watershield Plant at Cheongha-myeon |
분야 | 지리/동식물 |
유형 | 식물/식물(일반) |
지역 | 전라북도 김제시 청하면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정길 |
성격 | 여러해살이풀|채소 |
---|---|
학명 | Brasenia schreberi |
생물학적 분류 | 식물계〉쌍떡잎식물강〉미나리아재비목〉수련과 |
원산지 | 중국 |
자생지역/재배지역 | 전라북도 김제시 순동|청하면 |
높이 | 50~100㎝ |
개화기 | 5~8월 |
[정의]
전라북도 김제시 청하면에서 재배하고 있는 쌍떡잎식물강 미나리아재비목 수련과의 여러해살이 채소.
[개설]
순채는 일제강점기에 김제 순동에서 대량 재배되었으나, 지금은 김제시 순동과 청하면에서 일부 키우고 있다. 예부터 산에서는 송이, 밭에서는 인삼, 물에서는 순채를 제1의 건강식으로 꼽았다. 순채는 무미, 무색, 투명한 우무질에 쌓여 있는 비단 띠 같은 금대(金帶)라는 풀이다.
순(蓴), 마린초(馬燐草), 노채(露菜), 수채(水菜), 사순(絲蓴), 묘, 병풍, 수근(水芹), 노규(露葵), 결분초(缺盆草), 금대라고도 한다. 일본인들은 환상의 풀이라는 뜻으로 ‘준사이’라고 하는데, 무침·나물·국물·탕 등을 가리켜 ‘꿈의 식품’으로 부른다. 일본인들이 물러간 뒤 순채 음식의 맥이 끊겼으나 최근 몇몇 사람이 관심을 보이며 재배하고 있다.
[형태]
높이는 50~100㎝에 이른다. 뿌리줄기는 물 밑의 펄 속을 옆으로 기며 가지를 친다. 줄기는 원주형으로 드문드문 가지를 친다. 잎은 어긋나며, 잎줄기는 잎 뒷면 중앙에 붙어 있고 물위에 뜨며 타원 모양으로 길이 4~10㎝이다. 뒷면은 자색을 띤다. 어린 줄기와 잎은 한천과 같은 점질로 덮여 있다.
꽃은 5~8월 잎겨드랑이서 나오는 긴 화편의 끝에 1개씩 달리며 암홍자색이다. 꽃받침잎과 꽃잎은 각각 3개씩이고 긴 타원 모양으로 둔두(鈍頭)이며 길이 12~14㎝이다. 열매는 달걀 모양이고 물속에서 익으며, 꽃받침과 암술대가 남아 있다. 물위로 5㎝ 정도 솟아올라 꽃을 피운다.
[생태]
실같이 가는 줄기 금대가 보통 40~50포기로 덩어리지는데, 번식은 그 줄기를 나누거나 실뿌리가 난 마디를 잘라 심어서 한다. 재배법이 까다로워 우리나라에서는 몇 사람만이 알고 있을 정도이다. 수심 1.5~1.8m의 진흙에서 자라는데, 관배수가 자유로워야 하며 연뿌리와 공생할 때 연잎이 우거지면 햇볕이 가려 광합성을 할 수 없어 죽고 만다. 하천이 오염되어 웬만해서는 순채가 싹을 낼 수 없다. 순채를 비롯하여 마름, 가시연꽃 같은 수초는 잎 뒷면이 짙은 보라색을 띠는데, 이는 자외선을 잘 흡수하기 위해서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가공이 어려워 반제품밖에 만들지 못하며 완제품은 일본인들이 생산하고 있는 형편이다. 연 싹처럼 도르르 말리는 순은 3㎝의 정삼각형 안에 들어가야 합격품이다. 4월 23일~25일경 첫 번째 채취를 하고, 날씨가 좋으면 일주일 뒤 다시 채취한다. 우기 때는 10~15일 후 한다. 어린순은 한해에 20~25회 채취가 가능하다. 순채 채취는 물밑 30㎝ 이하에서 면도날로 따는 무척 고된 작업이다. 6월 30일경 수면으로 타원형 잎이 피면 흰 꽃도 피는데, 째진 잎의 순은 ‘개도학’이라 하여 상품 가치가 없으며 이런 꽃들은 흰 꽃이 아니라 노란 꽃이 핀다.
『동의보감(東醫寶鑑)』에서는 인체에 쌓인 100가지 독소를 제거하며, 열에 의한 마비증과 당뇨, 특히 위궤양·피부종양·위종양 등에 특효가 있으며 뇌에 쌓인 혈액의 노폐물을 제거해 피를 걸러 낸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