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풍수지리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600128
한자 風水地理
영어음역 Feng Shui
영어의미역 Geomancy
이칭/별칭 풍수설,풍수지리사상,풍수지리설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전라북도 김제시
집필자 최진성

[정의]

전라북도 김제 지역의 땅에 관한 이치를 음양오행설에 기초하여 설명하는 이론.

[개설]

풍수는 산천(山川)·수로[水流]의 모양을 인간의 길흉화복(吉凶禍福)에 연결시켜 설명하는 학설로, 이를 체계화한 것이 바로 풍수지리 사상, 풍수설, 풍수지리설 등으로 정착되었다. 즉 풍수지리는 지형이나 방위를 인간의 길흉화복과 연결시켜 죽은 사람을 묻거나 집을 짓는 데 알맞은 장소를 구하는 이론이다. 풍수지리에는 음양오행설을 바탕으로 한 동아시아의 자연관이 잘 나타나 있으며, 실제로 조경과 건축 등에 영향을 미쳤다. 일반적으로는 주로 묘지 풍수나 주택 풍수, 명당과 같은 터 잡기로 생각하기도 한다.

이러한 자연현상의 변화가 인간의 길흉화복과 관계가 깊다는 생각은 이미 중국의 전국시대(戰國時代) 말기에 시작되었다. 그것이 음양오행 사상이나 참위설(讖緯說)과 혼합되어 전한(前漢) 말부터 후한(後漢)에 걸치면서 인간의 운명이나 화복에 관한 각종의 예언설을 만들어 냈고, 초기 도교의 성립에 따라 다시 체계화되었다. 풍수지리는 이후 중국을 비롯한 동양인의 생활에 영향을 미쳤으며, 한국에 전파되어 고대로부터 한국의 문화 경관 형성과 한국인의 땅을 보는 의식 구조(geomentality)에 영향을 주었다.

[길지와 발복의 원칙]

풍수지리에서 말하고 있는 길지(吉地) 조건과 발복(發福) 현상을 보면 다음과 같은 원칙으로 정리된다.

첫째, 풍수에서는 한 지역을 구성하고 있는 지형의 일부분을 각각 한 개의 시스템으로 본다. 예를 들어, 김제시의 풍수 형국을 떠나가는 배[行舟形]로 봤을 때 김제시의 풍수 형국을 구성하고 있는 여러 부분들, 즉 주산·청룡·백호 및 안산 등을 배의 앞과 뒤 또는 돛대 등으로 인식한다.

둘째, 풍수에서는 경관을 의인화·의물화해서 자연을 파악한다. 예를 들면, 경관을 장군이나 황소 또는 용이나 개미 같이 살아 있는 생물체나 아니면 나룻배나 가마 같이 사람이 만든 물체로 본다.

셋째, 풍수에서는 길지가 되는 장소의 조건으로 항상 평형이 유지될 것을 요구한다. 좌우가 청룡백호로서 대칭되어야 한다든지, 그 중앙의 주산 밑이 풍수혈이라 해서 중심이 잡혀 평형이 이루어지는 곳을 중요시 한다. 예를 들면, 조선시대 읍치(邑治)였던 김제군성산(城山), 만경현의 동산(東山), 금구현봉두산(鳳頭山) 등이 주산 또는 진산으로 불렸다. 1872년에 작성된 지방 군현도에서도 이 산들을 중심으로 각각 좌청룡과 우백호를 그리고 있다.

넷째, 풍수에서는 환경이 인간에 의해서 쉽게 파괴될 수도 있고, 그 파괴된 땅이 인간에 의해서 회복될 수도 있다고 본다. 이러한 사실은 현대의 환경론자들의 생각과 비슷하다.

다섯째, 음택 풍수가 성한 이유는 조상과 자손의 뼈가 길지에 묻혀서 그 곳에 고여 있는 생기를 타게 되면 그 감응된 기가 살아 있는 자손에게 전달될 수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이러한 죽은 조상과 살아 있는 자손의 관계를 ‘동기감응’이라고 한다.

여섯째, 한국의 풍수설화에서는 주로 착한 사람들만이 길지를 발견하여 복을 받는다. 악한 사람은 길지를 차지하여 묘를 쓰고 집을 짓고 살더라도 발복이 안 된다고 한다. 즉 한국풍수에서는 윤리가 중요하다는 면을 보여 준다.

[경관과 풍수]

문화 경관이란 어떤 문화의 테두리 안에서 자연 경관에 인간의 영향이 가해져 이루어진 결과이다. 이러한 문화 경관화가 되는 과정에 있어서 풍수가 미치는 영향은 크게 네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풍수를 이용한 장소 선정으로 입지론에 해당한다. 대표적으로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개성·한양과 같은 국도의 입지를 정하는 것에서부터 김제군·만경현·금구현 등의 읍치를 정하는 데에도 풍수를 이용해 선정하였다. 또한 김제 지역의 오래된 마을들의 입지와 지명들에서도 이러한 풍수적 영향이 잘 나타나 있다.

둘째, 선정된 곳에 알맞은 구조물을 설계하여 설치한다. 김제군·만경현·금구현의 관아와 객사, 그리고 향교와 사직단 등의 배치 및 시설물의 조성에도 풍수의 입지 논리에 의존하였다. 군현의 소재지인 읍치에는 행정 경관인 관아가, 그리고 제사 경관인 향교와 사직단이 설치되었다. 풍수는 이들의 상하 관계, 또는 좌우 관계 등의 배치뿐만 아니라 이들 간의 상호 관계에도 영향력을 미쳤다.

셋째, 이렇게 풍수를 이용한 입지 선정과 구조물 조성을 통하여 인간과 자연이 서로 적응하여 관계를 유지하는 것에도 풍수는 관여한다. 예를 들면, 행주형의 형국인 평양 같은 곳에서는 우물을 파는 것이 금지되었다. 이에 따라 주민은 더 깨끗한 우물물 대신 강물을 길어다 사용했다. 물론 보건 위생에는 좋지 않은 결과를 초래한 것으로 보인다.

넷째, 풍수를 고려한 상징물을 조성한다. 조선조 태조의 한양 천도와 경복궁 축조는 태조의 정치 이념과 왕조의 권위를 과시하여 새로운 왕조의 정치적인 상징물을 축조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일본이 경복궁을 훼손하고 총독부 건물을 지은 것도 일본의 식민지 이념과 일본 식민 정권의 권위를 과시하기 위한 상징물 축조에 그 의의가 있었다. 김제에서도 관가의 위치와 건물 또한 풍수를 이용한 지방 관아의 권위를 상징하는 나름대로의 기념비적인 건물이었으며, 이를 훼손하고 세운 일본의 관사나 성산 위에 세워진 김제신사(金堤神社) 또한 일본의 식민 정권의 권위를 한국인이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도록 하기 위한 상징물이었다.

[풍수지명]

김제 지역에는 풍수와 관련된 지명이 마을마다 헤아릴 수 없이 많다. 김제시의 풍수 관련 지명은 대부분 생물체를 의인화한 것이며, 물체를 의인화한 것도 있다. 그 중에서 동물을 의인화한 지명에는 용·소·개 등이 많으며, 이외에도 개미·토끼·학·제비·뱀·말·닭·기러기 등의 동물이 의인화되었다. 생물은 꽃을, 그리고 사람은 장군을 의인화 대상으로 삼았다. 물체를 의인화한 것은 배가 유일하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풍수지명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