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600066 |
---|---|
한자 | 鳳頭山 |
영어음역 | Bongdusan |
영어의미역 | Bongdu Mountain |
이칭/별칭 | 산성봉 |
분야 | 지리/자연 지리 |
유형 | 지명/자연 지명 |
지역 |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 월전리|선암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정길 |
[정의]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 월전리와 선암리에 걸쳐 있는 산.
[명칭유래]
봉두산(鳳頭山)은 봉황을 닮은 형상이라는 데서 유래된 지명이다.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에는 ‘봉두산은 현 동쪽 이십리에 있다[鳳頭山在縣東二十里]’고 기록되어 있다.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에는 통일신라시대 전후에 축조된 것으로 추측되는 월전리 성터가 있어서 인지 ‘산성봉(山城峰)’으로 나와 있다.
[자연환경]
봉두산의 산줄기는 호남정맥 초당골[막은댐]을 지나 모악산기맥 분기점에서 전라남도 광양시의 백운산까지 뻗어가는 호남정맥과 헤어져 북쪽으로 달리는 모악기맥이 뿌리이다. 모악기맥은 만경강(萬頃江)과 동진강(東津江)을 가르며 엄재, 국사봉, 화율봉, 장근재, 모악산, 유각치, 묘고산에 닿는다. 묘고산에서 모악기맥으로부터 갈려나와 서쪽으로 가다가 헬리포트에 이르러 두 갈래로 나뉜다. 구성산(九城山) 줄기는 서쪽으로 가고, 북쪽으로 달리는 산줄기에 봉두산이 솟아 있고 고산(高山), 황산(凰山)에서 끝을 맺는다.
모악기맥은 모고산에서 북쪽으로 뻗어가며 매봉산, 천잠산에 이르면 방향을 서쪽으로 꺾는다. 그리고 승가산(僧伽山), 승반산(升盤山), 두악산(斗岳山), 국사봉(國師峰), 망해사가 있는 진봉산(進鳳山)을 지나 봉화산(烽火山)에서 맥을 다한다. 구성산 자락에 있는 봉두산의 물줄기는 원평천(院坪川)을 통해서 동진강으로 합류하여 새만금으로 들어간다.
[현황]
봉두산은 높이 279m이다. 월전리 성터는 봉두산 정상을 중심으로 축성한 테뫼식 산성으로 산의 동쪽은 비교적 완만한 경사를 이루고 자연석을 이용하여 축성한 돌이 100m 이상 남아 있으며 추가로 200m가 확인되었다. 서쪽, 북쪽, 남쪽은 자연경사면을 이용했다. 이러한 자연성벽을 포함하면 전체 길이는 900m에 이른다.
축성 연대는 정확하지 않으며, 『금구읍지(金溝邑誌)』에는 백제시대에 쌓았다는 기록이 보이고, 『대동여지도』와 『청구도(靑邱圖)』에는 산성봉으로 표기되었다. 성 부근에서 통일신라시대의 토기, 고려시대의 자기 조각, 조선시대의 기와 등이 출토된 것으로 보아 통일신라시대를 전후해서 축성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봉두산 동쪽에는 당월저수지, 서쪽에는 선암저수지가 있으며 선암저수지 쪽으로 지방도 714호선이 지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