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용궁부연록」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302729
한자 龍宮赴宴錄
영어의미역 Record of the Journey to Feast at the Dragon Palace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강원도 강릉시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장정룡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소설
작가 김시습
양식 몽유소설
발표매체 『금오신화』
주요 등장인물 한생|용왕

[정의]

조선 전기의 문인 김시습(金時習)이 쓴 소설.

[개설]

「용궁부연록」은 우리나라 최초의 한문소설 『금오신화(金鰲新話)』에 들어 있는 5편 가운데 하나로, 주인공이 용궁에 다녀온 일을 삽입시로 표현하며 서술한 소설작품이다. 글재주가 뛰어난 한 인물이 용궁에 초대받아 누각의 상량문을 써주고 돌아와 세상에서 자취를 감추었다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창작경위]

「용궁부연록」은 생육신의 한 명인 김시습이 경주 금오산에 머무르는 동안 명나라 구우(瞿佑)[1347~1427]의 『전등신화(剪燈新話)』를 읽고 작품배경과 인물, 사건을 자국화(自國化)하여 쓴 한문소설이다. 「용궁부연록」의 용궁은 임금이 사는 곳이며, 김시습은 자신의 능력을 알아주지 않는 세상에 대한 자신의 불만과 처지를 주인공 한생(韓生)에게 감정이입하여 창작하였다.

[내용]

주인공 한생이 어느 날 꿈속에 용궁으로 초대되어 갔는데, 용왕의 청을 받아 상량문을 써주었다. 용왕은 그 재주를 크게 칭찬하고 잔치를 베풀어 대접하면서 구슬과 비단을 선물로 주었다. 꿈에서 깬 한생은 용궁의 일을 통해 일장춘몽과 같은 세상의 벼슬과 명예를 추구하지 않고 명산으로 들어가 자취를 감추었다는 내용이다.

현실적 지상계와 가상적 용궁계를 넘나드는 구성을 통해 이승과 다른 의식의 세계를 연결하고 있으며, 궁극적으로 자신이 처한 현실과 이상의 대립을 제기하고 있다.

[특징]

몽자류(夢字類) 소설로 환몽적 구조를 보여준 「용궁부연록」은 동해안 용궁설화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전등신화』의 「수궁경회록(水宮慶會錄)」과 유사한 것으로 분석되나, 오히려 강릉 일대 안인진 자락바위와 관련된 김자락의 용궁설화와 대단히 흡사하다. 이러한 용궁설화와 환몽구조는 매월당 김시습이 은둔하며 기이한 행적을 보인 색은행괴(索隱行怪)의 전기적 생애와도 연결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관동 지역을 돌아다니며 많은 시를 남긴 김시습의 일화가 전해지는데, 「용궁부연록」은 동해안의 용궁설화를 배경으로 한 작품으로 평가된다. 「동해용궁설화」는 안인진 해령산의 명선문과 해랑당, 정동진 등명낙가사 등지에 전하는데 이러한 사상적 배경이 작품과 상통하고 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1.12.19 2011 한자 최종 검토 『금오신화(金鰲新話)』에 -><서명>『금오신화(金鰲新話)』</서명>에
이용자 의견
G** 글자가 너무 휘황찬란하여 글을 읽는데 방해가 됩니다.
  • 답변
  • 디지털강릉문화대전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태깅 처리한 부분이 많은 경우에 해당됩니다. 현재 그 부분에 대한 해결 방안을 모색 중에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2013.08.06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