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은사」[성현]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801942
한자 奉恩寺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서울특별시 강남구 봉은사로 531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정인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자 생년 시기/일시 1439년 - 성현 출생
저자 몰년 시기/일시 1504년 - 성현 사망
배경 지역 봉은사 - 서울특별시 강남구 봉은사로 531[삼성동 73]지도보기
성격 한시|칠언율시
작가 성현(成俔)[1439~1504]

[정의]

조선 전기 성현이 공조판서로 임명된 후 선릉을 방문할 때 봉은사에 들러 지은 한시.

[개설]

「봉은사(성현)」성현(成俔)[1439~1504]의 문집 『허백당집(虛白堂集)』에 수록되어 있다. 성현이 1500년 공조판서로 임명된 후 선릉(宣陵)을 방문하고 봉은사에 들러 지은 한시이다. 봉은사는 현재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해 있다.

[구성]

「봉은사(성현)」는 칠언율시로 구성되어 있다. 소나무 그림자가 선방(禪房)을 덮고 있는 한적한 봉은사의 모습을 잘 표현하였다.

[내용]

천개거찰의장강(天開巨刹倚長江)[하늘이 큰 절을 열어 긴 강에 기대어 놓았는데]

동우영롱세소쌍(棟宇玲瓏世少雙)[전각은 영롱하여 세상에 필적할 데 없어라]

백랍융성단상촉(白蠟瀜成壇上燭)[단 위에 흰 밀랍 녹여 만든 촛불이 타오르고]

홍라전작탑전당(紅羅剪作榻前幢)[탑 위에 붉은 깁 잘라 만든 휘장이 드리웠네]

통천인원원무갈(筒泉引遠源無渴)[먼 곳에서 죽통으로 샘물을 끌어오니 마를 날 없고]

첨탁풍미향자동(簷鐸風微響自㨂)[처마 끝의 풍경은 가는 바람에 절로 소리를 울리네]

좌구거승첨명완(坐久居僧添茗椀)[우두커니 앉은 스님이 찻잔에 물을 붓는데]

석양송영낙선창(夕陽松影落禪窓)[석양에 솔 그림자 선방에 떨어지네]

[특징]

「봉은사(성현)」는 제1구에 강(江), 제2구에 쌍(雙), 제4구에 당(幢), 제6구에 동(㨂), 제8구에 ‘창(窓)’의 운자를 썼다.

[의의와 평가]

성현봉은사를 방문한 것은 절이 중창(重創)된 지 불과 2년 만의 일이라고 한다. 따라서 새로 지은 전각이 휘황찬란하였을 것인데 「봉은사(성현)」는 절을 둘러싼 풍경을 담박하게 잘 표현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