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압구정시에 응제하다」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801932
한자 應製狎鷗亭詩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정인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자 생년 시기/일시 1420년 - 서거정 출생
저자 몰년 시기/일시 1488년 - 서거정 사망
배경 지역 압구정 -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지도보기
성격 한시|칠언율시
작가 서거정(徐居正)[1420~1488]

[정의]

조선 전기의 문신 서거정「어제압구정시서」를 쓴 후 한명회의 요구에 따라 그 운에 의거하여 응제하여 지은 한시.

[개설]

「어제압구정시에 응제하다」서거정(徐居正)의 문집 『사가시집(四佳詩集)』 제30권에 수록되어 있다. 압구정(鴨鷗亭)은 조선조 세조에서 성종 대에 걸쳐 높은 벼슬을 했던 한명회(韓明澮)가 만년에 두모포(豆毛浦) 남쪽 언덕에 지어 여생을 보냈던 정자이다. 이 때 성종(成宗)이 친히 「압구정시(鴨鷗亭詩)」를 지어 내렸고 조정의 여러 문사들이 어제(御製)에 화운(和韻)하여 수백 편의 시를 지었다고 한다. 서거정은 이미 「어제압구정시서(御製狎鷗亭詩序)」를 쓴 바 있는데 한명회가 다시 간절히 시를 요구하여 그 운에 의거하여 응제(應製)하여 한시 6수를 지었다. 현재 강남구에는 이 정자의 이름을 붙인 압구정동이 있는데, 강남개발로 아파트단지를 건설하면서 지대를 높이고 한강제방을 쌓으면서 원래 정자의 터는 사라졌다.

[구성]

「어제압구정시에 응제하다」는 칠언율시 6수로 구성되어 있다. 벼슬길에서 물러나 한강변에 압구정을 짓고 여생을 보내는 한명회를 생각하며 압구정 주변의 풍광을 배경으로 담박한 정취를 잘 표현하였다.

[내용]

삼대원훈제일류(三代元勳第一流)[삼대 조정의 원훈 가운데 제일류로서]

유연고흥만강추(悠然高興滿江秋)[강 가득한 가을에 흥취도 고상하여라]

도형기상기린각(圖形幾上麒麟閣)[초상은 몇 번이나 기린각에 올랐던고]

걸골종기앵무주(乞骨終期鸚鵡洲)[은퇴는 끝내 앵무주를 기약했네그려]

위국증전부일수(魏國曾傳扶日手)[위국에겐 태양을 붙든 솜씨가 전해오거니와]

상가구의제천주(商家久倚濟川舟)[상가에선 내 건너는 배를 오래 의지했었지]

강호불여묘당이(江湖不與廟堂異)[강호가 묘당과 응당 서로 다를 것 없나니]

우국우민역자수(憂國憂民亦自愁)[나라와 백성 걱정에 또한 시름일 뿐일세]

종남산압한강류(終南山壓漢江流)[종남산은 한강의 흐름을 굽어보고 있는데]

신구화정별양추(新構華亭別樣秋)[특별한 가을에 화려한 정자 새로 지었네]

천상하시강규벽(天上何時降奎璧)[천상에선 그 언제 규벽이 내려왔던고]

인간시처유영주(人間是處有瀛洲)[인간엔 여기에 바로 영주가 있었구려]

사안이랍등산극(謝安已蠟登山屐)[사안의 등산할 나막신은 이미 밀칠했지만]

범려무심범해주(范蠡無心泛海舟)[범려의 바다에 배 띄울 마음은 없고말고]

안견태평무사일(眼見大平無事日)[태평 무사한 세월을 눈으로 직접 보거니]

종용진퇴부하수(從容進退復何愁)[조용히 진퇴하면 또 시름할 게 뭐 있으랴]

어찰휘휘영벽류(御札暉暉映碧流)[찬란한 어찰은 푸른 강물에 으리비치고]

강산동색우신추(江山動色又新秋)[강산의 경색은 변하여 또 새로운 가을인데]

조회북극황룡궐(朝回北極黃龍闕)[북쪽 대궐로부터 퇴청하여 돌아오거든]

내상남강백로주(來賞南江白鷺洲)[남쪽 강 백로주로 와서 완상을 하는구려]

녹야소요개별서(綠野逍遙開別墅)[녹야엔 별장이 있어 이리저리 배회하고]

감호귀거유고주(鑑湖歸去有孤舟)[감호에 돌아가면 외로운 배도 있다마다]

백두경경단심재(白頭耿耿丹心在)[백발에도 님 못 잊는 일편단심이 있거니]

일반하망연주수(一飯何忘戀主愁)[잠시나마 어찌 님 그리는 시름을 잊을쏜가]

강호만절가풍류(江湖晩節可風流)[만년에 강호의 풍류를 누릴 만하여라]

아상고명용기추(雅尙高名聳幾秋)[고상한 명성이 그 몇 해를 우뚝했던고]

화동주렴등각우(畫棟珠簾滕閣雨)[화동 주렴은 등왕각의 비를 연상케 하고]

청천방초한양주(晴川芳草漢陽洲)[청천 방초는 한양의 모래섬이 생각나네]

청산요조장당호(靑山窈窕長當戶)[청산은 수줍은 모습으로 길이 문 앞에 섰고]

백구안한불피주(白鷗安閑不避舟)[백구는 한가로워라 배도 피하지를 않누나]

막견시비성도이(莫遣是非聲到耳)[행여 시비의 소리가 귀에 이를 리 없으니]

취향천지백무수(醉鄕天地百無愁)[취향의 별천지에 아무런 시름도 없고말고]

건곤납납수장류(乾坤納納水長流)[하늘땅은 광대하고 물은 길이 흐르는데]

주홀간산우일추(拄笏看山又一秋)[홀로 턱 괴고 산 보니 또 한 가을이로세]

북악초요탱벽락(北岳岧嶤撑碧落)[북악산은 우뚝하여 푸른 하늘을 받치고]

서호은영접창주(西湖隱映接滄洲)[서호는 보일락 말락 창주에 연닿았는데]

곡강장상시환제(曲江張相時還第)[곡강의 장상은 당시 집으로 돌아갔지만]

적벽소선일범주(赤壁蘇仙日泛舟)[적벽의 소선은 날로 뱃놀이를 즐기었지]

호시공성명역수(好是功成名亦遂)[공을 이루고 명성도 이루었으니 좋고말고]

감련기국만생수(堪憐杞國謾生愁)[기국의 부질없는 시름이 가련하기만 하네]

불필명시퇴급류(不必明時退急流)[태평한 때라 굳이 급류에서 용퇴하지 않고]

위사퇴식낙청추(委蛇退食樂淸秋)[의젓하게 퇴식하며 맑은 가을을 즐기누나]

계산도화왕유망(溪山圖畫王維輞)[계산의 그림은 왕유의 망천도와 똑같고]

운물풍류사조주(雲物風流謝朓洲)[운물 경치 풍류는 사조의 물가와도 같네]

사업기년류한간(事業幾年留汗簡)[사업은 무궁한 후세에 역사로 남으려니와]

강호무일불허주(江湖無日不虛舟)[강호엔 하루도 빈 배를 안 띄운 날 없어라]

당시아망귀왕사(當時雅望歸王謝)[당시의 높은 명망이 왕사로 돌아가거니]

감향하간부사수(敢向河間賦四愁)[감히 하간을 향하여 사수 시를 지을쏜가]

[특징]

「어제압구정시에 응제하다」는 6수에 걸쳐 모두 제2구에 추(秋), 제4구에 주(洲), 제6구에 주(舟), 제8구에 수(愁)의 운자를 썼다.

[의의와 평가]

성종이 친히 지어 내린 압구정시에 화운하여 당시 여러 문사들이 시를 지었는데 서거정「어제압구정시에 응제하다」는 6수에 걸쳐 운자를 반복해 쓰면서 담박한 정취를 잘 표현한 작품이다.

[참고문헌]
  • 한국고전종합DB(http://www.db.itkc.or.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