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000496
한자 古阜李氏世孝閭
이칭/별칭 고부 이씨 양세 세효려,고부 이씨 세효 정려
분야 종교/유교
유형 유적/건물
지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읍 내요리 799-1
시대 조선/조선 전기,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경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556년연표보기 - 고부 이씨 세효려 건립
개축|증축 시기/일시 1826년 - 고부 이씨 세효려 중수[1826]
개축|증축 시기/일시 1968년 - 고부 이씨 세효려 중수[1968]
개축|증축 시기/일시 1997년 - 고부 이씨 세효려 중수[1997]
개축|증축 시기/일시 1997년 - 고부 이씨 세효려 단청
현 소재지 고부 이씨 세효려 -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읍 내요리 799-1지도보기
성격 정려각
양식 겹처마 팔작지붕
정면 칸수 2칸
측면 칸수 2칸
소유자 고부 이씨 종친회
관리자 고부 이씨 종친회

[정의]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읍 내요리에 있는 조선 시대 정려각.

[개설]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충효 사상과 정절을 으뜸으로 삼았다. 조정에서도 이를 적극 권장하여, 충효열(忠孝烈)에 뛰어난 사람을 뽑아 정려(旌閭)를 내려 백성의 귀감이 되게 하였다. 정려의 종류에는 정려비와 정려문, 정려각 등이 있다. 고부 이씨 세효려(古阜李氏世孝閭)는 조선 시대에 고부 이씨 효자 이승간과 이승간의 아들 이광춘의 효행을 기리기 위해 세웠다. 효자 이승간의 본관은 고부(古阜), 자는 직경(直卿), 호는 석호(石湖)이다. 고려조 첨지 정승(僉知政丞) 이경조(李敬祖)의 후손으로 고조할아버지는 시강원 사서(侍講院司書)를 지낸 이삭(李朔), 증조할아버지는 역시 시강원 사서를 지낸 이원소(李元蘇)이며, 할아버지는 시직(司直)을 지낸 이수(李粹)이다. 아버지는 부산 첨사(釜山僉使)를 지낸 이철동(李哲仝)이고, 어머니는 수원 백씨(水原白氏)로 설서(說書)인 백구계(白九啓)의 딸이다.

이승간은 1485년(성종 16)에 부안 도방산(道防山)의 사저(私邸)에서 태어났다. 어릴 때부터 유희를 좋아하지 않고 어버이 곁을 떠나지 않았으며, 정성껏 효도함이 하늘이 내린 것과 같고 기개와 도량이 범인과 달라 모든 사람들이 반드시 큰 인물이 될 것이라고 예견하였다. 8세 때에 아버지가 종기로 매우 위독하자 이승간이 말하기를, 옛적에 오기(吳起)라는 사람이 스스로 환부를 빤 일이 있으니 빨아야 낫는다 하며 스스로 빨기를 청하였다. 이렇게 하여 효과를 얻으니, 소문을 들은 자들이 그 기특한 생각과 정성에 감탄하였다. 장성하여서는 맛있는 음식은 반드시 어버이에게 손수 드리고, 질병에는 분(糞)을 맛보아 증세를 살폈다. 두루 베풀고[주시(周施)] 봉양함이 한결같으니 이웃 마을에서 모두 존경(尊敬)하여 복종(服從)하였다.

어버이를 섬기는 틈틈이 학문에도 힘을 다하여 김안국(金安國)의 문하에서 학업하였으며, 그 배움이 오직 자연히 이해하고[융회(融會)] 마음속으로 굳게 약속하며[심계(心契)], 심각하고 깊이 생각하고[신사(愼思)] 명백히 판단하는[명변(明辯)] 공부이어야 한다는 생각에 이계맹(李繼孟)과 도의로 사귀었다. 그때 주변 사람들은 그 학식이 깊어 당세에 짝이 드물다고 말하였으며, 학문과 행실을 겸비한 성덕군자(盛德君子)라 칭송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명예가 더 드러나 여러 번의 천거로 조정에서 선공감 직장(繕工監直長)에 제수하였으나 이승간은 부모를 봉양하기 위해 벼슬을 사양하여 나아가지 않았다. 대신 도방산 밑에 집을 지어 부모의 음식, 의복의 수발을 하는 틈에 후진 양성에 힘을 기울이니 학도(學徒)가 끊임없이 모여들어 성취(成就)하는 이가 많았다.

중년에 부친상을 당하여 3일을 물 한 모금 마시지 않았으며, 장사 후에는 3년을 여묘(廬墓)하며 어머니를 보러 가는 것 외에는 동문을 나서지 않았다고 한다. 매서운 추위나 한더위에도 질대(絰帶)를 풀지 않았고, 삼년상을 마친 후에는 제사에 정성을 다하며 새벽에는 반드시 참배하였다. 또 편모 봉양을 늙을 때까지 게을리하지 않았다. 어느 날 저녁에 실수로 집 안에 불이 나 침실까지 번졌는데, 어머니 백부인은 나이 84세로 혼미하여 움직일 수가 없었다. 이승간 또한 나이 63세로 늙고 쇠약하여 힘을 쓸 수가 없어, 다만 몸으로 어머니를 감싸 보호하니 모자가 함께 사망하였다. 이승간의 행적은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과 『삼강록(三綱錄)』에 기록되어 있으며, 청계서원(淸溪書院)에 배향되었다.

이광춘은 1505년(연산군 11)에 이승간의 아들로 태어났다. 자는 인서(仁序)이다. 타고난 바탕과 성품이 높아 어려서 가정의 가르침을 익혔으며, 학문이 돈독하여 별좌(別坐)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집에 있어 오직 효를 하고 형제간에 우애하며 영리와 영달에 뜻을 두지 않고 강도(講道)하며 지냈다. 이광춘이 마침 출타하였다가 급히 돌아와 보니 집이 활활 불타고 있었다. 내당에 불이 붙어 아버지가 화염을 무릅쓰고 할머니를 구하러 들어갔는데 불이 문을 막았다. 이에 이광춘이 사나운 불길을 뚫고 들어가 아버지를 업어 내고 또 할머니를 업고 나왔으나 목숨을 구하지는 못하였다. 이광춘은 온몸이 불에 데여 성한 곳이 없었고, 몇 차례나 죽을 고비를 넘기고 일어나게 되었다. 그때 현감인 양희(梁喜)가 구장(具狀)하여 조정에 올리니 부자에게 정려가 내려졌고, 이광춘의 행적도 『삼강록』에 수록하였다. 1707년(숙종 33)에 부안의 유림들이 청계서원에 향사하였다. 이승간, 이광춘 부자의 묘는 고부 이씨 재실인 원모재(遠慕齋)[부안군 부안읍 내요리 돌모산] 부근에 있다.

[위치]

고부 이씨 세효려부안군 부안읍 내요리 799-1번지 석하[돌모산] 마을에 있다. 부안군 부안읍 돌모산로 158[내요리 801번지] 맞은편 석호정(石湖亭) 앞에 자리한다. 부안군 부안읍에서 지방도 제707호선을 따라 주산면 소재지로 가다가, 부안남초등학교를 지나 로터리에서 직진하면 신흥 상회 앞 삼거리가 나온다. 삼거리에서 좌회전하여 돌모산로를 따라 직진하여 내요 보건 진료소 앞을 지나면 ‘돌모산’이라는 커다란 비석이 있다. 비석을 따라 곧바로 가면 돌모산 경로당이 나오는데, 50여 m를 직진하면 우측에 정려각이 있다.

[변천]

1556년(명종 11)에 정려를 받아 건립하였다. 1826년(순조 26)에 중수하였고, 1968년 다시 중수하였으며, 1997년에 중수 및 단청을 하였다.

[형태]

정려각은 정면 2칸, 측면 2칸의 겹처마 팔작지붕으로 되어 있다. 길이는 정면이 각 200㎝이고, 측면이 각 138㎝이다. 기둥은 자연석을 다듬은 기초석 위에 원형의 돌기둥을 세우고, 그 위에 원형의 나무 기둥을 얹었다. 담장은 붉은 벽돌로 둘렀으며 철제문을 달았다. 출입문이 2개로 되어 있으며, 우측 출입문 위에는 ‘세효려’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 정려 안에는 ‘효자선공감직장이승간지려(孝子繕工監直長李承幹之閭)’ 현판과 ‘효자별좌이광춘지려(孝子別坐李光春之閭)’ 현판이 있다. 이외에 ‘양세정려기(兩世旌閭記)’와 1826년에 은진(恩津) 송치규(宋穉圭)가 지은 ‘고부이씨세효정려중수기(古阜李氏世孝旌閭重修記)’, 10대손 진사 이원곤(李源坤)이 지은 ‘정려중수상량문(旌閭重修上樑文)’이 있다.

[현황]

고부 이씨 세효려는 고부 이씨 종친회가 소유하여 관리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