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강강술래」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001221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전라북도 부안군 위도면 대리
시대 시대 미상
집필자 김성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 시기/일시 1988년 2월 19일 - 「호박구덕[강강수월래]」 이소라가 안이차와 안길녀에게 채록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3년 - 「강강술래」 『한국의 농요』-제3집에 「호박구덕[강강수월래]」로 수록
채록지 대리 마을 - 전라북도 부안군 위도면 대리지도보기
성격 민요|유희요
토리 육자배기 토리
기능 구분 세시 유희요
형식 구분 선후창 방식
박자 구조 진양조장단|중모리장단|중중모리장단
가창자/시연자 안이차|안길녀

[정의]

전라북도 부안군 위도에서 강강술래 놀이를 할 때 부르는 유희요.

[개설]

「강강술래」추석이나 정월 대보름 달밤에 여러 사람이 함께 손을 잡고 원을 그리며 빙빙 돌면서 춤을 추는 놀이를 수반하여 부르는 세시 유희요이다. 이를 「호박구덕[강강수월래]」이라고도 한다.

[채록/수집 상황]

1993년 이소라가 집필하고 민속원에서 발행한 『한국의 농요』 제3집에는 이소라가 채록한 「강강술래」가 수록되어 있다. 이는 이소라가 1988년 2월 19일 전라북도 부안군 위도면 대리로 현지 조사를 나가 주민 안이차·안길녀 등 두 명의 여성에게서 채록한 것이다. 안길녀는 위도의 마지막 당골 조금례(曺金禮)[1917~1995]가 사망한 직후부터 위도 띠뱃굿의 무녀 역할을 수행했는데, 얼마 지나지 않아 그녀 또한 사망하고 말았다. 물론 안길녀는 무계 출신이 아니다. 안길녀가 사망한 이후로 위도에서는 무녀 문제가 심각한 현안이 되었다.

[구성 및 형식]

「강강술래」는 한 사람의 선창자가 앞소리를 메기고, 참여한 모든 사람이 ‘강강술래’라는 뒷소리를 받으면서 놀이하는 노래이다. 노래는 통상 전라도 음악 특성인 육자배기 토리로 부른다. 즉 미라시도의 ‘미’음은 굵게 떨고, ‘라’음은 평으로 내지르며, ‘도’음은 ‘시’음으로 급격하게 꺾어서 시김새를 내는 창법이다.

이소라가 이 노래의 곡명을 「호박구덕[강강수월래]」이라고 정했는데, 가사에 동일한 대목이 나와서 붙인 제목일 것이다. 그러나 ‘호박구덕’이라는 명칭은 「강강술래」 연곡에는 없는 명칭이다. 짐작하건대 위도에서 독자적으로 불리는 가사가 아닐까 한다. 이소라가 채보한 악보로 볼 때 안이차와 안길녀가 부른 「호박구덕[강강수월래]」은 빠른 장단으로 전개하는 「자진강강술래」로 보인다.

[내용]

위도 「강강술래」의 앞소리 사설 내용은 다음과 같다. 뒷소리는 물론 “강강술래”이다.

[앞소리] 머리에 머리에 덥석머리 설설이나 갱겨라[감겨라]/ 구덕구덕 호박구덕 호박구덕이 너울러졌다 / 윽신작신 뛰어나 보자 강강술래/ 가세가세 어서가세 이수건너 백로가세/ 놀러가세 놀러가세 월선이 집이로 놀러가세/ 월선이는 어디가고 거문고만 걸렸구나/ 먼디 사람은 보기도 좋고 옆이 사람은 듣기도 좋다/ 구덕구덕 호박구덕 호박구덕이 너울러졌다/ 달 떠온다 달 떠온다 저기 저산에 달 떠와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강강술래」는 우리나라 유희요 가운데 유일하게 노래와 춤과 놀이가 결합한 악곡이다. 처음에는 진양조로 느린 가락에서 시작하는데, 이를 ‘늦은강강술래’, 또는 ‘긴강강술래’라고 한다. 그러다가 중모리·중중모리장단의 ‘중강강술래’와 ‘자진강강술래’로 넘어간다. 이때 둥글게 돌면서 춤을 추는 발걸음도 장단에 맞춰서 속도를 조절한다.

「강강술래」는 다양한 노래와 놀이가 부수되는 연곡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 놀이로는 남생이놀이, 멍석말기, 고사리꺾기, 청어엮기, 문열기, 기와밟기, 쥔쥐새끼놀이, 개고리 타령 등이 있다.

위도에서 조사된 「강강술래」는 조사자 이소라가 「호박구덕[강강수월래]」이라고 표기하고 있다. 이는 위도 제보자가 부른 가사에 “구덕구덕 호박구덕 호박구덕이 너울러졌다.”는 내용이 존재하기 때문일 것이다. 이 가사는 위도의 지역형이라고 할 수 있다. 「강강술래」는 이렇듯 호남 각 지역에 유포되면서 해당 지역에서만 부르거나 놀이하는 지역형들을 생산해 냈다. 그 정도로 「강강술래」는 대중적으로 인기가 있는 노래로서, 시대와 지역과 세대와 취향에 따라 놀이와 악곡이 첨가되는 방식으로 창의적 변이를 일으켜 왔다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 이소라, 『한국의 농요』 제3집(민속원, 199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s://encykorea.aks.ac.kr): ‘강강술래조’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