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000783
한자 扶安-
영어공식명칭 Buan Dam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지명/시설
지역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중계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장동헌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0년 2월~1996년 12월 - 부안 댐 사업 기간
준공 시기/일시 1996년 11월 6일연표보기 - 부안 댐 준공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6년 12월 31일 - 부안 댐 사업 준공 인가[건교부 공고 제1997-472호]
현 소재지 부안 댐 -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중계리지도보기
성격 다목적 댐
면적 59㎢[유역 면적]|50,300,000㎥[총 저수량]|35,600,000㎥[유효 저수량]|50m[높이]|282m[길이]
전화 063-580-3210

[정의]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중계리에 있는 다목적 댐.

[개설]

부안 댐은 저류 공간의 용수 공급, 홍수 조절, 발전 등 여러 가지 목적으로 건설·운영되고 있는 다목적 댐이며, 국내에서 유일하게 국립 공원 지역에 소재하고 있다. 수자원 개발 정책이 큰 댐 중심에서 중소 규모의 댐 개발 사업으로 전환하면서 축조된 우리나라 최초의 중규모 댐이다. 부안 댐 건설은 그동안 큰 하천의 본류를 막는 대규모의 다목적 댐 건설에 집중하여 중소 규모 하천 유역의 지역 사회가 댐 건설의 혜택을 받지 못하던 문제를 해결한 주요 사례가 되었다.

[건립 경위]

부안 댐은 서해안 시대의 개막으로 인한 산업화·도시화의 촉진과 인구 집중에 따른 각종 용수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전라북도 부안군·고창군을 비롯한 새만금 간척 사업 지구에 조성될 농업 도시에 생활용수·공업용수·농업용수를 안정적으로 공급하여 지역 사회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건립되었다.

[변천]

부안 댐은 1991년 12월에 착공하여 1996년 11월에 준공했으며, 사업비는 613억 원이 들었다. 1999년 12월 31일 광역 상수원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었으며, 2000년 지방자치단체 개혁박람회 조직위원회[행정자치부·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가 부안 댐의 광역 상수원 보호 구역 지정을 지역 분쟁 해결의 우수 사례로 선정하였다.

[구성]

부안 댐은 콘크리트 표면 차수벽형 석괴 댐[CFRD, Concrete Faced Rockfill Dam]이다. 석괴 댐은 댐 본체의 안정을 위해 석괴로 축조한 댐을 의미한다. 제원은 길이 282m, 높이 50m이다. 수계는 직소천(直沼川)이며 유역 면적은 59㎢이다. 본 댐, 여수로, 코퍼 댐(cofferdam), 터널식과 암거식(暗渠式)의 가배수(假排水) 설비, 취수탑(取水塔)과 용수 공급관의 용수 공급 설비 등을 갖추고 있다. 총 저수용량은 5030만㎥, 유효 저수 용량은 3560만㎥, 홍수 조절 용량은 930만㎥이다. 발전 시설 용량은 193만㎾이며, 연간 발전량은 152만 2000GWh이다.

[현황]

부안 댐은 전라북도 부안군, 고창군, 새만금 지구 일대에 용수를 공급하고 있다. 부안 댐 건설로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중계리대항리, 상서면 청림리가 수몰되었으며, 고향을 떠나야 했던 세대 및 인원수는 86세대 269명에 이르렀다. 고향을 잃은 자들의 마음을 달래기 위한 망향탑이 세워져 있고, 매년 망향제가 열리고 있다. 부안 댐이 소재한 변산반도(邊山半島)는 국립 공원으로 지정된 지역답게 주변 경관이 좋고, 댐 주변에 직소정(直沼亭), 망향탑, 부안 댐 물 문화관, 부안호 문학 동산 등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