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000389 |
---|---|
한자 | 國民保導聯盟事件 |
영어공식명칭 | Massacre of Members in the Converted Anti-Communist Group|Massacre of Members in the Federation for Protecting and Guiding the People |
이칭/별칭 | 보도 연맹 사건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
지역 | 전라북도 부안군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정재철 |
발단 시기/일시 | 1949년 6월 3일 - 국민 보도 연맹 사건, 국민 보도 연맹 발족 |
---|---|
발생|시작 시기/일시 | 1950년 6월 25일 - 국민 보도 연맹 사건, 국민 보도 연맹원 예비 검속 시작 |
전개 시기/일시 | 1950년 7월 6일 - 국민 보도 연맹 사건 전라북도 부안군 상서면 감교리 개암사 입구 옆 야산에서 100여 명 학살 |
전개 시기/일시 | 1950년 7월 19일 - 국민 보도 연맹 사건 전라북도 부안군 줄포면 줄포리 후촌 골짜기에서 40여 명 학살 |
전개 시기/일시 | 1950년 7월 20일 - 국민 보도 연맹 사건 전라북도 부안군 진서면 운호리 여룬개 골짜기에서 30여 명 학살 |
발생|시작 장소 | 개암사 입구 옆 야산 - 전라북도 부안군 상서면 감교리 |
발생|시작 장소 | 후촌 골짜기 - 전라북도 부안군 줄포면 줄포리 |
발생|시작 장소 | 여룬개 골짜기 - 전라북도 부안군 진서면 운호리 |
성격 | 사건 |
관련 인물/단체 | 국민 보도 연맹 |
[정의]
1950년 7월 전라북도 부안군에서 일어난 국민 보도 연맹 가입 민간인 집단 학살 사건.
[개설]
국민 보도 연맹(國民保導聯盟)은 1949년 6월 4일 정부 주도로 좌익 전향자들로 구성하여 발족시킨 관변 단체이다. 발족 목적은 남아 있는 좌익 세력을 뿌리 뽑고, 좌익 사상을 갖지 않은 불만 세력들도 정부의 관리 체계 속에 편입하여 미연에 반정부화를 방지하기 위해서였다. 결성 당시 가입 대상자는 좌익 경력자였으나, 규정 적용 과정이 모호하고 자의적이어서 좌익 관련자들뿐만 아니라 정부에 비판적인 인사들도 가입시켰다. 무고한 국민들도 상당수 가입되었는데, “보도 연맹에 가입하면 보호해 준다.”거나 “여러 편익을 준다.”고 하는 말 때문에 제대로 알지 못한 상태에서 가입한 경우였다.
광복 초기에 해방감의 분위기에 들떠 많은 단체들이 생겨났고, 좌·우익이 무엇인지도 모른 채 농민 조합, 인민 위원회, 청년 동맹 주최 교양 강좌 모임 등에 몇 차례 참석했거나 남한 전역을 휩쓴 ‘추수 봉기’ 행진에 줄만 섰던 자들도 행정 기관이 강권으로 국민 보도 연맹에 가입시키기도 하였다. 이들 대부분은 결국 1950년 6·25 전쟁이 일어나면서 한국사에 전례가 없었던 대규모로 자행된 민간인 학살의 희생자가 되었다. 당시 전라북도 부안에서도 국민 보도 연맹 가입자들이 3차에 걸쳐 170여 명이 희생되는 비극적인 학살이 자행되었다.
[역사적 배경]
1948년 10월 여순 사건이 일어나자 정부는 남한 내 좌익 세력의 색출에 나섰다. 같은 해 12월 1일 「국가 보안법」을 제정·공포했고, 1949년 6월 21일 좌익 전향자들을 가입 대상으로 하는 단체인 ‘국민 보도 연맹’을 창설했다. 「국가 보안법」이 강력한 제재 수단이었다면, 국민 보도 연맹은 포섭 유인책이었다. 좌익 세력 근절을 위한 강온 양면 전략이었다.
1950년 전쟁이 나자 보도 연맹원에 대한 예비 검속이 시작되었다. 지역에 따라 미군 첩보 부대인 시아이시(CIC)[Counter Intelligence Corps], 사찰계 경찰, 헌병 등이 구금된 요시찰인들을 대상으로 과거 좌익 활동에 대한 취조를 벌였다. 그리고 정도에 따라 ‘에이(A)·비(B)·시(C)·디(D)’나 ‘갑·을·병’으로 분류했고, 분류 과정에서는 폭력과 고문이 수반되었다. 에이급은 사상이 애매모호한 자, 디급은 극히 위험한 인물을 의미했다. 구금된 보도 연맹원 중 디급으로 분류된 주요 간부들은 대부분 7월 초순경에, 나머지 예비 검속자들은 인민군이 점령하기 직전 즉, 군경이 후퇴하는 과정에서 희생되었다.
[경과]
6·25 전쟁으로 인민군이 남하하자 전라북도 부안에서도 보도 연맹원에 대한 부안 경찰의 예비 검속이 시작되었다. 예비 검속자들은 경찰서 유치장이나 창고 등에 구금되었다가 세 차례에 걸쳐 170여 명이 총살당했다. 부안경찰서 소속 경찰 등이 전북지방 경찰국의 지시를 받아 1차로 주동급 100여 명을 7월 6일 전라북도 부안군 상서면 감교리 개암사(開巖寺) 입구에 약 20여m 못 미치는 야산에서 집단 학살했다. 2차는 7월 19일 전라북도 부안군 줄포면 줄포리 후촌 골짜기에서 40여 명을, 3차는 7월 20일 산내면[현 진서면] 운호리 여룬개 골짜기에서 30여 명을 집단 학살했다.
[결과]
국민 보도 연맹 사건 이 일어난 지역에서는 전세 역전과 함께 보복 학살이 뒤따랐다. 사건 발생 지역을 점령한 인민군의 1차 보복 학살과 9·28 수복 이후 해당 지역을 다시 점령한 국군의 2차 보복 학살이 비극적으로 이어졌다. 국민 보도 연맹 사건으로 가장을 잃은 유족들은 큰 충격을 받았다. 그러나 반공주의가 강요한 기억 상실의 압박 속에서 희생자 가족들은 오랜 기간 사실조차도 드러낼 수가 없었다. 남한 정부가 국민 보도 연맹 사건에 ‘빨갱이’라는 딱지를 붙임으로써 가족들은 피해 사실을 오히려 숨겨야 했고, 슬픔을 가슴에 묻어야 했다. 살아남은 가족들에게는 아버지와 남편을 잃고 받게 된 고통보다 훨씬 더 가혹하고 견디기 힘든 지난한 세월이었다.
후촌 골짜기에서 희생된 최순환은 2010년에 독립 유공자가 되었다. 일제 강점기에 농민 조합을 결성하고 「치안 유지법」으로 검거되어 징역을 살았던 항일 유공 사실이 확인되었기 때문이었다. 국가가 상을 주어야 마땅한 독립 유공자를, 상을 주기는커녕 공권력을 통한 살해를 자행하고, 60년 후에야 독립 유공자로 공식 인정한 아픔 속에 우리의 슬픈 역사가 숨어 있다.
[의의와 평가]
6·25 전쟁은 20세기 어떤 전쟁보다 민간인 사망률이 높았던 전쟁이었다. 전쟁 기간 중에 남북한 전역의 민간인 사망자 수는 최소 200만 명 이상이었던 것으로 추정한다. 이 과정에서 집단 학살이 이루어졌다. 국민 보도 연맹 사건은 ‘예방 학살’이라는 성격을 띠고 있다. 인민군 점령 시에 점령군에게 협조할 것을 예단하고 미리 싹을 없앤다며 자행한 사건이었다. 보도 연맹원들에 대한 학살이 없었던 지역에서는 보복 학살이 없었다는 사례도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