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000272
한자 靑邱圖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유물/서화류
지역 전라북도 부안군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한상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제작 시기/일시 1834년연표보기 - 『청구도』 제작
문화재 지정 일시 2008년 12월 22일연표보기 - 『청구도』 보물 제1594-1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08년 12월 22일연표보기 - 『청구도』 보물 제1594-2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09년 4월 22일연표보기 - 『청구도』 보물 제1594-3호 지정
현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산60-1]
현 소장처 영남대학교 도서관 - 경상북도 경산시 대학로 280[대동 214-1]
현 소장처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 -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로 145[안암동5가 1-2]
성격 고지도
관리자 국립중앙도서관[보물 제1594-1호]|영남대학교 도서관[보물 제1594-2호|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보물 제1594-3호]
문화재 지정 번호 보물 제1594-1호|보물 제1594-2호|보물 제1594-3호

[정의]

1834년에 제작된 『청구도』에 수록된 부안현 지도.

[개설]

『청구도(靑邱圖)』는 1834년(순조 34) 김정호(金正浩)가 제작한 채색 필사본 지도로 부안현(扶安縣)을 비롯한 조선 전역에 대한 지리 정보가 수록되어 있다. 3점의 『청구도』가 각각 보물 제1594-1호[국립중앙도서관], 제1594-2호[영남대학교 도서관], 제1594-3호[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로 지정되어 있다. 종이에 채색하여 제작한 필사본 지도로 최한기(崔漢綺)[1803~1877]가 쓴 「청구도제(靑丘圖題)」가 수록되어 있다. 전라도 부안현 부분은 21층에 있다.

[형태 및 구성]

『청구도』는 건(乾)권과 곤(坤)권 2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크기는 31.5×21㎝이다. 채색 필사본이며 고산자 김정호가 제작하였다. 영남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청구도』의 내용을 보면 건권에는 경위선표목록 - 주현총도목록 - 제표총목 - 팔도분표 - 경기충청도 - 경상전도 - 전라전도 - 황해전도 - 강원전도 - 함경전도 - 평안전도가 수록되어 있다. 그리고 건권의 뒤쪽에는 총 28층 중에서 1층에서 14층까지의 지역이, 곤권에서는 15층부터 28층까지의 지역이 수록되어 있다. 한편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청구도』에는, 건권에 청구도제 - 청구도범례 - 동방제국도 - 사군삼한도 - 삼국전도 - 신라구주현총도 - 고려오도양계주현총도 - 본조팔도주현도총목 - 도성도 - 전국지도[홀수층]가, 곤권에는 신라구주현총도 - 고려오도양계주현총도 - 본조팔도주현총목 - 도성도 - 전국지도[짝수층] - 군국총목표가 순서대로 수록되어 있다.

[특징]

『청구도』는 전국의 산천·강·도서(島嶼)·도로를 비롯하여 주현 읍치와 서울까지의 거리, 각 읍의 군(軍)·호(戶)·전(田)·곡(穀)의 수 등을 기록하여 정보의 활용성을 높였다. 부안현은 제21층 15면과 16면에 그려져 있는데, 관내의 산천(山川), 행정 구역, 주요 도로와 군사 시설 등이 표기되어 있다. 부안의 민호는 6,000명, 전(田)은 8,500결, 곡(穀)은 2만 6800석, 군(軍)은 5,500명, 서울에서의 거리는 560리[220㎞]이다. 한편 격포 행궁에는 곡(穀)은 700석, 병(兵)은 500명, 검모포진은 군(軍) 1,100명, 곡(穀)은 2,700석, 위도진의 곡(穀)은 600석, 병(兵)은 1,300명으로 기록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청구도』는 책첩(冊帖)으로 제작되었으나 전국 지도를 연결하면 가로 462㎝, 세로 870㎝로 현존하는 고지도 중 그 규모가 가장 크다. 축척은 약 1:2,160,00이며, 경위선 표식과 기하원본의 확대 축소법을 적용하였고, 군현의 경계, 비입지(飛入地)[한 군현의 영역 중 다른 군현의 영역을 넘어 들어가 위치한 지역]와 두입지(斗入地)[군현 간 경계선의 굴곡이 심하여 영역이 서로 얽혀 있는 형태로 행정 경계가 편성된 지역]를 표시하였다. 또한 각 읍의 군(軍)·호(戶)·전(田)·곡(穀) 등의 정보를 수록하여 참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청구도』가 국가 운영과 지방 통치, 군사 행정을 위해 제작되었음을 알게 해 준다.

[참고문헌]
  • 국립중앙도서관(https://www.nl.go.kr)
  • 규장각한국학연구원(https://kyu.snu.ac.kr)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s://encykorea.aks.ac.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