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000013 |
---|---|
한자 | 界火山 |
영어공식명칭 | Gyehwasan Mountain |
이칭/별칭 | 봉화산 |
분야 | 지리/자연 지리 |
유형 | 지명/자연 지명 |
지역 | 전라북도 부안군 계화면 계화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조성욱 |
전구간 | 계화산 - 전라북도 부안군 계화면 계화리 |
---|---|
해당 지역 소재지 | 계화산 - 전라북도 부안군 계화면 계화리 |
성격 | 산 |
높이 | 245.3m |
[정의]
전라북도 부안군 계화면 계화리에 있는 산.
[명칭 유래]
계화산(界火山)은 경계에 있는 고을 또는 계화도(界火島)라는 섬 이름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이며, 이 지역 사람들은 봉화산이라고 부른다.
[자연환경]
부안군 계화면 계화리에 있는 245.3m의 산으로 계화 방조제 완공 전에는 섬에 있었다. 경위도상으로는 동경 126° 37' 57", 북위 35° 47' 20" 지점이다.
[현황]
계화산 정상에는 봉수대가 있었다. 남쪽의 월고리산[부안군 변산면 격포리의 봉화산]에서 점방산[부안군 변산면 대항리 동쪽 260m] 그리고 계화산 봉수대와 연결되며, 북쪽으로는 만경현의 봉수[김제시 진봉면 심포리의 봉화산, 82m]로 연락되는 지점이다. 주봉인 매봉에는 1995년에 복원한 봉수대가 있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에 상리, 중리, 하리를 계화리로 합병하여 행안면에 소속하였으나, 1983년 계화면으로 편입하였다. 계화산이 있는 계화도는 원래 섬이었으나, 1966년 계화도 상리와 동진면 문포리를 연결하는 제1방조제[9.254㎞]와 1968년 계화도 하리와 하서면 의복리[현 계화면 의복리]를 연결하는 제2방조제[3.556㎞]의 완공으로 육지와 연결되었다.
현재는 새만금 간척 사업에 의해서 서쪽과 북쪽이 바다에서 새만금 간척지가 되어 섬의 특성이 완전히 사라지게 되었다. 계화도에는 간재 선생 유지(艮齋先生遺址)[전라북도 기념물 제23호]와 쌍조석간(雙鳥石竿)[전라북도 민속자료 제17호]이 있다. 마을은 동부에 집중되어 있으며 계화초등학교, 계화보건진료소, 부안수산업협동조합 계화지점, 계화도 양지항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