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계해 삼월춘」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002308
한자 癸亥三月春
영어의미역 The Spring Day on March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충청남도 논산시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조도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시조
작가 강복중(姜復中, 1563~1639)
창작연도/발표연도 1623년연표보기

[정의]

조선 중기 충청남도 논산 출신의 강복중인조반정을 찬양하여 지은 평시조.

[개설]

강복중(姜復中, 1563~1639)의 자는 재기(載起), 호는 청계(淸溪)이다. 벼슬은 참봉에 그쳤으며, 일생을 시골에 묻혀 논산에서 지냈다. 강복중의 나이 61세가 되던 해인 1623년에 이귀·김유 등의 서인 일파가 광해군과 집권당인 대북파를 몰아내고 인조반정을 일으켰는데, 이에 강복중은 「계해반정가(癸亥反正歌)」 7수를 지어 인조반정을 찬양하였다. 「계해반정가(癸亥反正歌)」는 일명 「천운순환칠조가(天運循環七條歌)」라고도 부른다. 「계해반정가(癸亥反正歌)」 7수 중 하나가 「계해 삼월춘」이다. 「계해 삼월춘」강복중의 문집 『청계가사(淸溪歌詞)』에 전한다.

[구성]

「계해 삼월춘」은 3장 6구 각장 4음보의 평시조 형식이다. 계해반정(인조반정)의 성공을 기뻐하는 강복중의 심정을 직설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특히 초장에서는 반정에 성공한 이귀(李貴)김유(金鎏)를 직접 실명으로 거론하며, 중장에서는 이들이 ‘용천검’을 둘러메고 나라를 태평하게 할 것이라는 기대감을 보여 준다. 종장에서는 이들을 직접 위로하러 가겠다는 표현을 통해 그가 반(反) 광해군 정서를 갖고 있으며, 인조반정에 대해 긍정적인 생각을 지니고 있음을 보여 준다.

[내용]

계해년(1623년) 봄, (인조반정의) 뜻을 지닌 이귀(李貴)와  김류(金鎏)가/ 보검(寶劍)을 들고 나라를 태평하게 할 것인가

아이야, 푸른 명아주 지팡이를 내어라. (반정에 성공한) 이귀(李貴)와  김류(金鎏)를 위로하러 가겠노라.

계해(癸亥) 삼월춘(三月春)에 뜻 가진 이귀(李貴)와  김류(金鎏)

용천검(龍泉劍) 둘러메고 태평케 하단 말가

아희야 청려장(靑藜杖) 내어라 위로하러 가자.

[특징]

「계해 삼월춘」은 형식적으로 평시조의 전형적인 모습을 잘 보여 주며, ‘용천검’, ‘아희야’ 등 여타 시조에서 자주 등장하는 시어의 사용도 눈에 띈다. 내용적으로는 비유를 생략하고 역사적 사실을 직접 거론하여 등장인물을 찬양하며 당대 정치 현실을 지원하는 적극적인 의지를 보여 주고 있다.

[의의와 평가]

「계해 삼월춘」은 사대부이면서도 벼슬에 나가지 않았던 이른바 향반(鄕班)의 정서를 잘 드러내 주는 작품으로서, 17세기 사회적 변혁기에 지역 사대부가 정치적 의사를 어떻게 표현했는지를 잘 보여 주는 시조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