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000817
한자 愼獨齋遺稿
영어음역 Sindokjaeyugo
영어의미역 Literary Remains of Gim Jip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충청남도 논산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병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문집
관련인물 김장생
저자 김집(金集, 1574~1656)
간행연도/일시 1710년연표보기
권수 15권
책수 7책
가로 18.6㎝
세로 28.7㎝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
소장처 주소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4동 산 60-1[반포대로 201]

[정의]

1710년(숙종 36)에 간행된 조선 중기 논산 출신의 문신 김집의 문집.

[편찬/발간 경위]

1710년 유고(遺稿) 15권 7책이 목판으로 간행되었는데, 이는 초간본(奎6182)에 실려 있는 연보를 통해 알 수 있다. 더 이상 자세한 언급은 없고, 서나 발도 없어 누구에 의해 어디에서 간행되었는지 알 수는 없다. 1922년 김장생(金長生, 1548~1631)『사계전서(沙溪全書)』가 간행된 데 이어 『신독재전서(愼獨齋全書)』가 완성되어 1924년 돈암서원(遯巖書院)에서 20권 9책으로 간행되었다. 중간본에는 초간본에 포함되지 않았던 「의례문해속(疑禮問解續)」과 연보, 어록, 문인록(門人錄) 등이 추가되었다.

[서지적 상황]

초간본은 현재 국립중앙도서관, 규장각, 성균관대학교 중앙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고, 중간본은 현재 규장각, 장서각, 국립중앙도서관, 성균관대학교 중앙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형태]

15권 7책이며, 목판본이다. 권수제는 ‘신독재선생유고(愼獨齋先生遺稿)’, 판심제는 ‘신독재유고(愼獨齋遺稿)’이다. 계선 형태는 이어진 계선이다. 장정법은 선장본, 지질은 닥종이, 어미는 상하화문어미(上下花紋魚尾), 광곽은 사주쌍변(四周雙邊)이다. 반곽 크기는 가로 14.3㎝, 세로 19.3㎝이다. 행수는 10행, 한 행의 자수는 20자이다.

[구성/내용]

권1~2는 시이다. 권1에는 38수의 만시(挽詩) 뒤에 3수의 시가 실려 있는데, 저작 시기 순으로 수록되어 있다. 송이창(宋爾昌), 김상헌(金尙憲), 조익(趙翼), 조석윤(趙錫胤), 인조(仁祖) 등에 대한 만시(挽詩)와 병중에 지은 시 등이다. 권2에는 노년에 스승 송익필(宋翼弼)의 시에 차운한 시를 모아 놓은 차구봉시(次龜峯詩) 180여 수가 실려 있다.

권3에는 1636년(인조 14)에 올린 「사집의소(辭執義疏)」부터 1655년(효종 6)에 올린 「사판중추부사제삼소(辭判中樞府事第三疏)」까지 42편의 소가 시기 순으로 편차되어 있다. 대부분이 승지, 찬선, 참판, 대사헌, 이조판서, 좌참찬 등의 관직을 사직하는 사직소(辭職疏)이고, 효종 즉위년에 올린 「봉사(封事)」가 실려 있다.

권4에는 1639년 5월 승지겸참찬관으로서 주강(晝講)에서 『시경(詩經)』의 「상유(桑柔)」편을 강하면서 올린 권면(勸勉)하는 말, 1649년 10월 대사헌(大司憲)으로서 주강에서 『중용』의 서문을 강하면서 올린 말을 적은 경연주사(經筵奏辭) 2편이 실려 있다.

권5는 잡저(雜著)로 제문(祭文), 제사(題辭), 서(序) 등이 실려 있다. 김태립(金泰立), 윤황(尹煌)의 제문과 조헌(趙憲)의 사우 이건(祠宇移建)에 관한 통문, 선조 분묘의 관리에 대한 글 4편이 있고, 끝에는 1648년 『상례비요(喪禮備要)』를 중간하고 쓴 후지(後識)가 실려 있다.

권6~7에는 서(書) 100여 편이 실려 있다. 권6에는 김장생, 이시백(李時白), 김상헌(金尙憲), 정홍명(鄭弘溟), 이경석(李景奭) 등에게 보낸 편지, 권7에는 송준길(宋浚吉), 송시열(宋時烈), 이유태(李惟泰), 윤선거(尹宣擧), 유계(兪棨) 등에게 보낸 편지를 인물별로 모아 놓았다.

권8~10에는 선조(先祖) 김문(金問), 선조비(先祖妣) 양천허씨(陽川許氏)김유휘(金有輝), 김복휘(金復輝), 김공휘(金公輝) 등 종조(從祖)의 묘갈명, 이이(李珥) 등의 묘지명, 성혼(成渾)정홍명(鄭弘溟) 등의 묘표 음기 등이 실려 있다.

권11에는 김장생, 강석기(姜碩期), 정철(鄭澈), 이시직(李時稷)에 관한 행장(行狀)이 실려 있고, 권12에는 조헌(趙憲)에 관한 시장(諡狀)이 실려 있다. 권13에는 「고금상례이동의(古今喪禮異同議)」가 실려 있다. 이것은 효종 즉위 초에 소명(召命)을 받고 올라왔을 때 상례(喪禮)의 절차에 관하여 올린 글로서, 「오례의(五禮儀)」에는 소략한 것이 많아 고경(古經)을 인용하여 60항목으로 나누어 설명한 것이다. 김집의 저서인 『의례문해속(疑禮問解續)』에도 부기되어 있다. 권14~15는 부록으로 사제문(賜祭文)과 송준길이 지은 시장(諡狀), 송시열이 지은 신도비명과 묘지명, 이유태가 지은 묘표, 윤선거권극중(權克中)이 지은 유사(遺事)가 실려 있다.

[의의와 평가]

『신독재유고』는 조선 중기 예학과 성리학뿐만 아니라 당대의 정치적 실상을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되는 중요한 자료이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