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논산표정리고분군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000477
한자 論山表井里古墳群
영어의미역 Nonsan Pyojeongri Tumuli
이칭/별칭 표정리 하표정 고분군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고분
지역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표정리 산58-2 외 2필지
시대 고대/삼국 시대/백제
집필자 이현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94년 11월 4일연표보기 - 논산표정리고분군 충청남도 기념물 제94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논산표정리고분군 충청남도 기념물 재지정
성격 고분군
양식 구덩식 돌덧널무덤
건립시기/연도 5세기경
소재지 주소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표정리 산58-2 외 2필지
문화재 지정번호 충청남도 기념물

[정의]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표정리 하표정마을에 있는 백제시대 고분군.

[개설]

논산표정리고분군에 대한 발굴 조사는 충남대학교백제연구소(도구머리 고분군), 국립부여박물관(당골 고분군), 공주대학교 박물관(하표정 고분군)에 의하여 3차에 걸쳐 이루어졌다. 서로 인접해 있으면서도 각각의 조사된 고분 명칭이나 내용 면에서 약간씩 차이를 보인다.

[위치]

논산 표정리 도구머리 고분군논산 표정리 당골 고분군과는 지리상으로 약간 떨어진 곳에 있다. 지형적으로는 논산 표정리 도구머리 고분군이 있는 능선이 낮은 구릉을 이루며 남서쪽으로 전개되다가 끝나는 지점으로 하표정마을이 있는 곳이다. 고분군은 해발 50m 안팎의 구릉지에 하표정마을 북쪽을 감싸듯이 형성되어 있다.

[발굴조사경위 및 결과]

1979년과 1981년 논산표정리고분군에 대한 발굴 조사가 이루어지면서 학계의 많은 관심을 받아 왔다. 특히 백제시대 고분군으로는 드물게 많은 고분이 밀집되어 분포해 있고 서로 다른 형식의 고분들이 공존하고 있어 시기에 따른 고분 축조 양식의 변화와 서로 다른 유형끼리의 관계 등을 좀 더 자세히 밝힐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공주대학교 박물관에서는 백제문화개발연구원의 지원을 받아 하표정마을 일대의 고분군에 대한 발굴 조사를 실시하여 16기의 고분을 확인하였다.

[형태]

논산표정리고분군에서 모두 16기의 고분을 발굴하였으며 이 가운데 15기가 구덩식 돌덧널무덤이다. 구덩식 돌덧널무덤의 경우 구조는 널길이나 입구부의 시설이 전혀 없이 하나의 묘실로만 이루어져 있으며, 장축은 등고선 방향과 나란하다. 무덤구덩이는 지하식으로 깊게 굴광하였으며, 천장은 여러 장의 판석재를 이용하여 덮었다. 묘실 내부 중앙에 자연 할석재를 이용하여 축조한 시상대가 있고, 양쪽 단벽은 판석재를 이용하여 격벽하거나 시상대와의 단차를 이용하여 유물 부장곽의 형태로 만들었다.

[출토유물]

논산표정리고분군에서는 토기류와 철제 무기류 등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토기류에는 주둥이가 넓은 광구호, 목이 짧은 단경호, 그릇 받침, 대접류 등이 있는데 주로 부장곽에서 출토되었다. 14호분의 경우 일반적으로 구덩식 돌덧널무덤에서는 확인되지 않는 세발토기가 출토되었다. 철제 유물은 화살촉, 도끼, 창, 손칼 등의 무기류가 출토되었다. 표정리 일대에서 조사된 고분군에서 출토된 유물과 상호 비교 가능한 것으로, 논산 지역을 중심으로 백제 지방의 토기 문화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현황]

논산표정리고분군 발굴은 당시 트렌치 조사를 통해 확인된 고분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발굴 조사한 것이므로 기존에 보고된 고분보다 더 많은 수가 밀집·분포할 것으로 추정된다. 1994년 11월 4일 충청남도 기념물 제94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충청남도 기념물로 재지정되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표정리 하표정 고분군 발굴 현황

[의의와 평가]

논산표정리고분군의 구조와 출토 유물 등의 존재로 미루어 볼 때 이 일대의 고분군은 백제가 남쪽으로 천도하기 이전인 5세기경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고분의 형식이 일반적으로 백제 중앙에서는 사용하지 않은 구덩식 돌덧널무덤이고 출토 유물로 미루어 보아도 재지 세력의 무덤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논산표정리고분군의 분포와 출토 유물의 존재를 기초로 백제 지방 세력의 분포 범위와 지역적 특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