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고루박질 소리」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000294
영어의미역 A Song Sung when Two Men Drawing Water with a Bucket
이칭/별칭 「맞두레질 소리」,「물품는 소리」,「고리박질 소리」,「고리두리박질 소리」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충청남도 논산시 채운면|연산면
집필자 이소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노동요|농업노동요
기능구분 농업 노동요
형식구분 메기고 받는 멕받형식|교창
박자구분 비고정박(非固定拍)|3/4박
가창자/시연자 김덕만(채운면 화산리)|박귀덕(연산면 백석리)|강영식(논산읍)

[정의]

충청남도 논산 지역 일대에서 가뭄 시 맞두레로 논에 물을 댈 때 불렀던 농업노동요.

[채록/수집상황]

충청남도 논산시 채운면 화산리에 사는 김덕만(남, 1915년 채운면 야화리에서 출생하여 해방 후 이주), 연산면 백석리에 사는 박귀덕(남, 1913년 출생), 논산시에 사는 강영식(남, 1937년 부여군 석성면 출생하여 39세에 이주)의 창을 채록하여 『논산시지』에 수록하였다.

[구성 및 형식]

「고루박질 소리」는 메기고 받는 가창방법, 또는이나 받음구 없이 교대로 가창하고 있으며, 메기는 소리와 받는 소리의 박자가 고정되어 있지 않기도 하고 또는 4분의 3박자 느린 속도로 가창되기도 한다.

[내용]

김덕만의 창에서는 “하나라, 둘, …… 열이라, 설흔 하나……” 등의 내용이 보이며, 강영식의 창에서는 “어화디야 한둠방 뜨자, 한둠박 뜨며는 두둠박으로 넘어가지……”라고 불리고 있다. ‘하나라 둘 서이 너이 다서이라 여섯하니 일굽이라 여덜 아홉 열이라, 삼십이라 설흔 하나’와 같이 수를 세는 가사는 전국적으로 보편적인 현상이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가뭄 시 논에 물을 대기 위한 고루박질은 대개 밤에 하는 힘든 작업이었으나, 현대에는 고루박질 대신 모터를 이용하여 물을 끌어들여 이러한 노동의 형태는 사라지고 있다.

[의의와 평가]

500두레 정도 고루박질로 물을 가지런히 푸고 나면 다른 사람과 교대하기 위해 불렀던 소리로, 고루박질소리에서 수를 세는 가사를 애용하는 것은 전국에 걸쳐 나타나는 현상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