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002722
한자 歌辭
영어의미역 The Old Form of Korean Verse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충청남도 논산시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조도현

[정의]

충청남도 논산 지역에 전해 내려오는 가사 문학의 종류와 특징.

[개설]

가사(歌辭)는 고려 말에서 조선 초에 걸쳐 발생한 4음보 율격의 연속체로 된 문학 형식을 가리킨다. 논산의 가사 문학은 가사 장르가 일반적으로 발전해 온 양상을 압축적으로 보여 주고 있다. 즉 가사 작가의 대표성을 띠고 있는 양반의 사대부가사(士大夫歌辭) 작품과 부녀자의 내방가사(內房歌辭) 작품이 남아 있는 것이다. 다만 작가가 다양하게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과 작품의 수가 많지 않다는 것이 아쉬운 점으로 남는다. 그러나 가사 장르의 질적 측면에서는 뛰어난 작품성을 보여 주며 논산 지역의 향토 문학적 성격에서 대표적 위상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대표 작가]

논산의 가사 문학에서 가장 대표적인 작가는 강복중(姜復中, 1563~1639)이다. 강복중의 가사 작품으로 「분산회복사은가(墳山恢復謝恩歌)」는 선산의 회복에 대한 감사를, 「위군위친통곡가(爲君爲親痛哭歌)」는 연주우국(戀主憂國)의 심정을 노래하였다. 또한 내방가사의 한 부류인 「계녀가(誡女歌)」는 소장자 전영홍의 5대 조모가 전씨 집안으로 출가하여 올 때 친정인 논산시 연산면 관동리에서 필사하여 지참한 것이라 한다. 「계녀가」는 시집가서 해야 할 일을 딸에게 가르치기 위한 노래로서 조선 후기 가사의 보편적 형태를 잘 보여 주고 있다.

[구성 및 형식]

일반적으로 서사·본사·결사의 3단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형식은 운문과 산문의 중간 형태로 운문의 형식에 산문의 내용이 결합된 방식이다. 한 음보는 대개 3·4음절이며, 4음보 격을 기준 율격으로 할 뿐 행에 제한을 두지 않는 연속체 율문 형식을 띠고 있다. 3·4조와 4·4조의 기본 율격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음수나 음보에서 파격을 보이는 곳도 있다. 이는 논산의 가사 작품이 조선 후기에 집중되고 있어 형식면에서 파격과 일탈의 징후가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내용]

지금까지 밝혀진 논산의 가사 문학 작품은 많지 않다. 그러나 알려져 있는 작품들을 통해 그 내용을 살펴보면, 먼저 「분산회복사은가」에서는 작가 강복중이 어린 시절 선산의 변을 당한 내용과 사건의 개요, 그리고 그 일을 해결하는 과정에 이르기까지 사실적이고 소상하게 기술되어 있다. 「위군위친통곡가」에서는 작가가 겪은 전란, 즉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후의 피폐된 사회상을 보는 선비의 곡진한 심정이 표현되어 있다.

「계녀가」에서는 시부모 섬기는 도리, 남편 섬기는 도리, 시집살이의 애환, 시집가는 딸에 대한 친정어머니의 덕담 등 일반적인 계녀가에서 볼 수 있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처럼 논산의 가사 문학은 사대부와 규중의 여인이 당대 보편적 윤리 규범의 틀 안에서 자신의 성정을 토로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징]

먼저 형식상의 특징은 파격을 보이는 작품이 많은데 이는 작가가 정제된 형식이나 아름다운 정서의 서술보다는 사실의 정확한 전달에 치중한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사실성이 점점 강조되는 조선 후기의 시대적 배경도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생각한다. 가사는 일반적으로 전란 이후의 조선 후기로 갈수록 변격의 형식과 사실적 내용으로 변모해 가는데, 논산 지역 가사의 경우 이러한 특징을 잘 반영하고 있다.

「계녀가」의 경우는 가사가 지니는 보편적 율격 구조, 즉 3·4조와 4·4조의 기본적 형식을 잘 따르고 있다. 특히 주로 영남 지방에서 많이 발견되는 특징을 보이고 있는 계녀가사가 충청남도에도 유통되었음을 확인하는 좋은 자료가 된다.

[의의와 평가]

논산의 가사는 형식과 내용면에서 가사 장르가 보여 주는 보편적 과정과 특징을 충실히 보여 준다. 즉 지금까지 발견된 논산 가사는 조선 후기에 집중되어 있는데, 서정성에서 서사성으로, 관념적 성격에서 사실적 성격으로 변모해 가는 가사 문학의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계층의 고하를 막론하고 우리 민족의 성정을 두루 표현했던 가사는 한글 창제 이후 우리말이 지니는 아름다운 어감과 묘미를 살려내는 데 큰 역할을 담당하였다. 논산의 가사 또한 향토 문학의 진수를 잘 보여 주는 데 일익을 담당하였다.

[참고문헌]
이용자 의견
관** 디지털논산문화대전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올려주신 고귀한 자료와 의견 소중히 참고하갰습니다. 감사합니다. 2012.03.20
박** 박증 강호연군가江湖戀君歌1편, 원문-무안박씨가장록, 강성복박철희,[암천 박증과 모곡서원],P.79,2003.연구서(역문)-충남대학교유학연구소편,[암천 박증의 도학정신과 유물유적],윤사순PP.24-25,이향배PP.185-186,2005.오로지 단종만을 그리는 국한문 혼용 작품. 필히 첨가할 수 있도록 선처앙망.고전문학란 보다 가사문학란이 더 적합 옮겨옴 2012.03.14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