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002050
영어음역 Jeolgutong
영어의미역 Mortar
이칭/별칭 도구통,도고통,도구,절기방아,방애,구마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물품·도구/물품·도구
지역 충청남도 논산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류제협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생활 도구
재질 돌|나무
용도 작업용|분쇄용

[정의]

충청남도 논산 지역에서 곡물을 찧기 위해 만든 도구.

[개설]

논산 지역에서는 절구통을 도구통 또는 도고통이라 하며 도구대(절굿공이)와 함께 짝을 이루어 사용한다. 도구통과 도구대를 사용하여 일하는 것을 도구질이라 하며, 둘이서 함께 도구통을 가운데 두고 마주 서서 일하는 것을 쌍도구질이라고 불렀다.

[연원 및 변천]

처음에는 만들기 쉬운 나무절구통이 많았지만 차츰 견고성이 탁월한 돌절구통으로 변화해 갔다. 그러던 중 마을마다 현대화된 정미소가 들어서고 면 단위로 방앗간이 생겨 곡물 가루 내는 일을 가정에서 할 필요가 없어지면서 절구통을 사용할 일도 줄어들었다. 오늘날에는 믹서 등의 보급으로 농촌에서 다소 쓰고 있는 실정이며, 민속식당 등에서 장식용으로 이용하고 있다.

[형태]

높이는 대략 50㎝~70㎝이며, 윗부분의 직경은 외경이 약 50㎝, 내경이 약 35㎝이다. 깊이 25㎝ 정도의 구멍을 파 놓은 상태로, 전체적인 모양은 마치 청자매병의 주둥이 부분에서 어깨 부분까지를 도려낸 것과 같은 형태이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196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보리를 절구통에 넣고 절굿공이로 찧어서 보리밥을 해 먹는 농가가 흔했다. 보리를 절구통에 넣고 절굿공이로 찧으면 보리의 겉껍질이 벗겨지고 속의 하얀 살이 드러나는데 이것이 바로 보리쌀이다. 먼 옛날부터 이렇게 찧어서 밥을 해 먹었기 때문에 기계로 문지르고 깎아서 도정을 하는 오늘날에도 ‘방아 찧는다’는 말이 남아 있다.

또 쌀가루를 만들려면 쌀을 물에 불려 물기를 완전히 뺀 다음 절구통에 넣고 찧어서 가루를 냈다. 콩이나 팥처럼 쌀을 맷돌에 갈지 않는 이유는 쌀을 맷돌에 갈게 되면 완전히 고운 가루를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즉 쌀을 맷돌에 갈아서 떡을 하면 차지거나 부드럽지 않고 입 안에서의 느낌이 꺼끌꺼끌하기 때문이다. 잔치 준비 등을 할 때는 아낙네들이 여럿 모여 한쪽에선 쌍절구질을 하고 한쪽에선 가루를 체로 치며 일하는데, 이처럼 어울려 일할 때는 절구질 동작을 성적 농담으로 버무려 힘든 일을 즐겁게 하곤 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