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002039
영어의미역 Flail
이칭/별칭 연가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물품·도구/물품·도구
지역 충청남도 논산시
집필자 류제협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농기구
재질 나무
용도 콩, 팥 등의 깍지를 벗겨 알곡을 얻는 도구

[정의]

충청남도 논산 지역에서 곡물의 겉을 싸고 있는 깍지를 두드려 알곡을 빼내는 데 쓰는 농기구.

[연원 및 변천]

먼 옛날 보리의 겉껍질을 벗기거나 콩깍지로부터 콩알을 분리할 때 작은 막대기로 두들기던 것이 발전하여 도리깨가 생겨났을 것이다. 탈곡기가 일반화되기 이전까지는 농가에서 직접 도리깨를 만들어 사용했으나 탈곡기가 일반화되고 농촌의 작물 재배 경향이 벼농사와 특용작물로 재편되면서 보리, 콩, 팥 농사는 극히 일부 농가의 작은 규모로 전락하면서 여럿이 함께 어울려 도리깨질을 하는 풍경은 사라졌다. 도리깨질을 한다 해도 혼자서 하고 대부분 아주 소량이기 때문에 콩대를 들고 앉아서 손가락 정도 되는 나무로 두들겨 콩알을 빼내는 경우가 많다.

[형태]

도리깨는 어른 손가락 정도 굵기의 가늘고 긴 나무(단단하고 질긴 나무로 노가지 나무가 많이 쓰인다)를 1m 정도 길이로 3개를 나란히 놓고 중간 중간을 엮어서 사다리꼴 살을 만드는데 이를 ‘열’이라 한다. 그리고 손에 잡기 좋을 만한 굵기(지름 약 2~3㎝)의 나무를 매끈하게 다듬어 2m 정도 길이로 자르는데 이를 ‘도리깨 장치’라 한다. 도리깨 장치의 끝 부분에 직각으로 구멍을 뚫고 여기에 비녀처럼 깎은 나무를 박아 회전할 수 있는 심보를 만드는데 이것을 ‘꼭지’라 한다.

이 꼭지에 도리깨 열의 끝을 연결하여 고정시킨 뒤 대를 잡고 열을 회전시키면서 바닥에 깔린 콩 등을 내려치면 알곡이 빠져나온다. 1970년대까지만 해도 농가에서 직접 만들어 사용했으나 요즘에는 열은 굵은 철사로, 채는 플라스틱 또는 쇠파이프로 된 도리깨를 공산품으로 생산하고 있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논산 지역에서는 곡물을 거두는 일을 타작(打作)이라고 하는데 즉 벼타작, 보리타작 콩타작 등이 있다. 지금처럼 농기구가 발달하지 않았던 시절에 대부분의 농작물을 줄기째 가져다가 마당 등 적당한 장소에 놓고 막대기나 도리깨로 두들겨 알곡을 분리해 냈다. 그러나 요즘에는 많은 양은 탈곡기로 하고 작은 양은 부지깽이 정도 되는 막대기로 두들겨 수확하기 때문에 도리깨는 민속박물관에서나 볼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