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001237
한자 金鎭圭
영어음역 Gim Jingyu
이칭/별칭 달보(達甫),죽천(竹泉)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충청남도 논산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고수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문신
성별
생년 1658년연표보기
몰년 1716년연표보기
본관 광산
대표관직 예조판서|공조판서

[정의]

조선 후기 논산 출신의 문신.

[가계]

본관은 광산. 자는 달보(達甫), 호는 죽천(竹泉). 사계 김장생의 후손이며, 아버지는 영돈령부사 김만기(金萬基)이고, 어머니는 한유량(韓有良)의 딸이다. 누이동생은 숙종비 인경왕후(仁敬王后)이며, 부인은 정철(鄭澈)의 6대 손녀로서 1752년(영조 28)에 정려를 받았다.

[활동사항]

김진규는 1682년(숙종 8) 진사시에 수석으로 합격하고, 1686년(숙종 12)에 과거에 급제하여 관직에 나아갔다. 이조좌랑 등을 역임하던 중 1689년(숙종 15) 기사환국(己巳換局)으로 남인이 집권하자 거제도로 유배되었다. 1694년 갑술옥사(甲戌獄事)가 일어나 서인이 집권하자 지평으로 다시 임용되었다. 노론과 소론의 대립이 깊어졌을 때 소론의 남구만(南九萬) 등이 탄핵하여 삭직되는 등의 고초를 겪기도 하였다.

1699년(숙종 25)에는 스승인 송시열을 배신하였다는 명목으로 윤증(尹拯)을 공격하여 계속 소론과 대립하였다. 1701년(숙종 27) 대사성을 거쳐, 부제학·대제학·예조판서 등의 관직을 두루 역임하는 한편, 홍문관, 이조참판, 병조참판, 공조참판, 좌참판 등의 여러 관직에 등용되었다. 그러나 1706년(숙종 32) 병조참판으로 재직 중 소론이 다시 집권하게 되자 2년간 귀양을 가기도 하였다.

[학문과 사상]

김진규는 당쟁이 격렬하던 시기 철저하게 스승인 송시열을 지지하고 노론의 입장을 고수하였다. 박세당(朴世堂)의 경전해석을 두둔하는 이탄(李坦)·이익명(李翼明) 등의 주장에 반박하는 상소를 올리기도 하였다. 이를 계기로 박세당송시열로부터 사문난적으로 낙인이 찍히게 되었다. 또한 도교 의식에도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저술 및 작품]

문장이 뛰어나 반교문·교서·서계 등을 많이 작성하였고 전서·예서 및 산수화·인물화에 능하였다. 신사임당(申師任堂)의 그림을 좋아하여 그림에 대한 해설을 남기기도 하였고, 스승인 송시열의 글씨에 해설을 붙이기도 하였다. 남긴 글씨로는 강화충렬사비(江華忠烈祠碑), 대헌심의겸비(大憲沈義謙碑), 증지평이령비(贈持平李翎碑) 등이 있다. 또한 문집으로 『죽천집(竹泉集)』이 있고, 편서로 『여문집성(儷文集成)』이 전해지고 있다.

[묘소]

묘소는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신월리에 있다.

[상훈과 추모]

1766년(영조 42)에 영조가 치제하였으며, 1773년에는 문집 간행에 재물을 하사하고 서문을 친제(親製)하였다. 거제도의 반곡서원에 송시열과 함께 배향되었으며, 시호는 문청(文淸)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