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000919
한자 連山鄕校
영어음역 Yeonsan Hyanggyo
영어의미역 Yeonsan Confucian Temple
분야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관동리 431[관동1길 88-12]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이해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97년 12월 23일연표보기 - 연산향교 충청남도 기념물 제119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연산향교 충청남도 기념물 재지정
성격 향교|국립교육기관
양식 전학후묘(前學後廟)
건립시기/일시 조선 전기
소재지 주소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관동리 431[관동1길 88-12]지도보기
전화 041-734-1878
문화재 지정번호 충청남도 기념물

[정의]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관동리에 있는 조선 전기에 건립된 관학 교육기관.

[개설]

연산향교사계 김장생신독재 김집을 배향하고 학문을 가르쳤던 곳으로, 태종대에 현감으로 부임한 박곤(朴坤)이 1398년(태조 7) 처음 설립하였으며, 그 뒤 여러 차례 보수하여 지금의 모습을 갖추었다. 지금 남아 있는 건물로는 제사를 지내는 공간으로 대성전을 비롯하여 동무와 서무가 있고, 교육 공간으로 강당인 명륜당과 학생들의 기숙사였던 동재·서재가 있다.

또한 출입구로 홍살문과 내삼문, 외삼문이 남아 있다. 연산향교 대성전에는 공자(孔子)를 중심으로 안자(顔子), 증자(曾子), 자사(子思), 맹자(孟子) 등 5성위를 모셨다. 그리고 동무에는 송조(宋朝) 2현(賢)과 동국 9현, 서무에 송조 2현과 동국 9현 등 모두 5성 22현으로 27위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명륜당은 유학을 가르치던 강당이며 동재, 서재는 유생들이 거처하던 곳이다.

[위치]

연산면사무소에서 연산천변을 따라 동쪽으로 약 2㎞ 가면 북쪽의 관동리로 들어가는 관동교가 있다. 이 다리를 건너 북서 방향 소로를 따라 1㎞쯤 가면 향교골 북쪽 끝에 연산향교가 자리하고 있다.

[변천]

연산향교는 창건 이래 여러 차례에 걸쳐 중수를 하였다. 향교의 중수 사실은 명륜당에 걸려 있는 여러 기의 현판을 통해 알 수 있다. 먼저 「교궁중수기(校宮重修記)」를 보면 군수로 산임한 구범서(具範書)가 훼철된 향교를 복구하기 위하여 돈을 모으고 담장, 동·서재, 내·외삼문 등을 복구하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연산향교가 언제 중수되었는지 정확한 연대를 가름하기는 어렵다.

다만 중수기에 경자(庚子)와 신축(辛丑)이라는 간지가 있어 시기를 유추해 볼 수 있을 뿐이다. 또한 군수 구범서에 의해 8개월에 걸친 중수가 이루어진 이후에, 일제강점기 때와 광복 이후에도 중수가 있었다. 「연산향교중수기(連山鄕校重修記)」를 보면 당시에는 군청(郡廳)의 보조와 향교의 임원, 지방 인사들이 모두 참여하여 중수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후 최근까지 중수가 진행된 사항을 살펴보면, 1976년 대성전이 중수되었고, 1985년 명륜당이 개축되었으며, 1988년 문묘정을 복원하였다. 이러한 사실로 보아 연산향교의 중수는 조선 중기와 일제강점기, 그리고 광복 이후 최근에 이르기까지 여러 차례에 걸쳐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형태]

향교의 배치는 정면에 명륜당을 두고 뒷면에 대성전을 둔 전학후묘식으로 이루어졌다. 외삼문을 들어서면 명륜당 마당이 있고 마당 동·서 양무 없이 대성전이 배치되어 있다. 명륜당대성전 사이의 동편 담에 붙여 전교실을 두었고, 수직사는 동편 담 밖에 별도로 담을 둘러쳐 배치해 두었다.

특이하게도 향교의 앞면 동쪽에는 정면 2칸, 측면 1칸의 조그만 문묘정을 배치해 두고 있다. 홑처마 팔작지붕으로 만든 문묘정은 건립이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원래 향교 가까이에 누정을 만들어 두는 경우는 그리 흔치 않다. 충청남도 지방 향교에서 나타나는 유일한 정자이다.

[현황]

제향은 매년 음력 2월과 8월의 상정일(上丁日)에 지낸다. 연산향교는 1997년 12월 23일 충청남도 기념물 제119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충청남도 기념물로 재지정되었다. 또한 향교에는 역대 향교 임원들에 대해 기록한 문서인 「재임안」을 비롯하여 「선생안」, 「청금록」 등의 자료가 소장되어 있고, 중수기·보수기·개축기 등 여러 현판들이 남아 있다.

향교의 임원으로는 전교와 여러 명의 장의가 있고, 제향 등 향교의 대소사 행사가 있을 때에는 연사·벌곡·양촌·부적 지역의 유림들이 주로 참여하고 있으며, 현재는 동계와 하계로 나누어 충효교실과 청년유도회를 중심으로 지역 내에서 봉사활동을 펼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연산향교는 조선 중기의 대표적인 사림의 한 사람인 김장생신독재 김집이 후학을 양성하면서 학문에 힘쓴 곳이었다. 이 사실은 호서 지방의 사림계와 관련지어 볼 수 있는 자료이다. 또한 여러 기의 현판이 잘 보존되어 있어 연산향교의 중수 사실을 알 수 있는 좋은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