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000629
한자 明齋遺稿
영어음역 Myeongjaeyugo
영어의미역 Literary Remains of Yun Jeung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충청남도 논산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병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문집
관련인물 숙종(肅宗, 1661~1720)
저자 윤증
편자 윤동수
간행연도/일시 1732년연표보기
권수 51권
책수 26책
사용활자 목활자(木活字)
가로 18.8cm
세로 29.6cm
표제 明齋先生遺稿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
소장처 주소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4동 산 60-1[반포대로 201]

[정의]

1732년(영조 8)에 간행된 조선 후기 논산 출신 문신 윤증의 문집.

[편찬/발간 경위]

윤증(尹拯, 1629~1714)의 종손(從孫) 윤동수(尹東洙, 1674~1739)가 쓴 발문(跋文)에 의하면 1732년 윤증의 아들 윤행교(尹行敎)와 손자 윤동원(尹東源)이 『주자대전(朱子大全)』의 범례에 따라서 서차를 정하여 편집하고 활자로 인출(印出)하여 간행하였다. 이후 1800년대 초반에 중간이 이루어졌다.

[서지적 상황]

현재 초간본은 국립중앙도서관(일산古3648-文61-10)에 소장되어 있고, 중간본은 규장각(奎4828), 성균관대학교 중앙도서관(D3B-351),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형태]

51권 26책이며, 목활자본이다. 권수제는 ‘명재선생유고(明齋先生遺稿)’, 판심제는 ‘명재유고(明齋遺稿)’이다. 장정법은 선장본, 지질은 닥종이, 어미는 상이엽화문어미(上二葉花紋魚尾), 광곽은 사주쌍변(四周雙邊)이다. 반곽 크기는 가로 14.8㎝, 세로 21.7㎝이다. 행수는 10행, 한 행의 자수는 20자, 주석은 쌍행이다.

[구성/내용]

본집은 목록(目錄), 보유(補遺), 원집(原集)을 포함하여 46권 23책이고, 별집(別集)은 4권 2책이며, 부록은 1권 1책이다. 목록에는 원집 46권까지의 제목이 실려 있다. 보유는 인쇄가 끝난 뒤 추가로 얻어진 편지 35편으로, 활자본의 특성상 마지막으로 목록을 인쇄하면서 함께 인쇄·결책되어 목록 뒤에 실린 것으로 보인다. 그 뒤에 1732년 윤동수가 지은 발문이 붙어 있다.

권1~4에는 「이충명추부(以蟲鳴秋賦)」와 「차귀거래사(次歸去來辭)」 등의 사부(辭賦) 2편과 시(詩) 490여 수가 시체(詩體)와 관계없이 연대순으로 편차되어 있다. 권1의 맨 앞에 실린 「영주망(咏蛛網)」과 「월야(月夜)」는 각각 조익(趙翼)유계(兪棨)에게 칭찬을 받은 시로 유명하다. 권2에는 1662년(현종 3) 금강산을 유람하고 구담(龜潭)과 도담(島潭)까지 경유하면서 지은 시들이 다수 실려 있다.

권5~8은 소장(疏狀), 서계(書啓), 수의(收議)이다. 90편의 소장과 36편의 서계가 연대순으로 함께 섞여 편차되어 있다. 관직 제수나 소명(召命), 음식물 하사 등을 사양하며 지어 올린 소장과 사관(史官)이나 승지(承旨)에 의한 전유(傳諭)를 받고 올린 서계로, 관직에 한 번도 나아가지 않았던 윤증의 행력을 그대로 읽을 수 있는 부분이다. 수의 10편은 우참찬(右參贊) 제수 이듬해인 1696년(숙종 22)부터 1713년까지의 수의 내용이다.

권9~29는 서(書)로 인물별 연대순으로 편차되어 있다. 권9~12의 수신자는 권시(權諰), 유계, 이유태(李惟泰), 정양(鄭瀁), 이상진(李尙眞), 박세당(朴世堂), 박세채(朴世采), 서봉령(徐鳳翎), 유명윤(兪命胤), 박태징(朴泰徵) 등의 스승, 선배, 사우(士友)들이다.

권13~17의 수신자는 송두장(宋斗章), 조득중(趙得重), 나양좌(羅良佐), 성지선(成至善), 이세필(李世弼), 이사길(李師吉), 조지항(趙持恒), 기정익(奇挺翼), 오도일(吳道一), 최석정(崔錫鼎), 임영(林泳) 등의 사우, 문인들이다. 이 중 윤증의 부친을 옹호하는 상소를 올리기도 하였던 나양좌에게 보낸 편지가 2권이나 된다.

권18~23의 수신자는 정제두(鄭齊斗), 최규서(崔奎瑞), 한배하(韓配夏), 민이승(閔以升) 등의 후배, 문인들이다. 특히 조카 박태보(朴泰輔)에게 보낸 편지가 매우 많은데, 내용은 『근사록(近思錄)』과 역의(易義)의 설명, 1684년 이후의 회니시비(懷尼是非)와 관련된 의논 등이다.

권24~26은 박태한(朴泰漢), 양득중(梁得中), 권이진(權以鎭) 등의 후배, 문인들과 봉산서원(蓬山書院) 유생 등에게 보낸 편지이다. 권27~29에는 윤순거(尹舜擧), 윤진(尹搢) 등의 친족에게 보낸 편지만 모아 놓았다.

권30~31은 잡저(雜著) 35편이다. 1649년 이후 권시(權諰)의 문하에서 지은 「남유기문(南遊記聞)」, 1680년에 지은 「국휼중관혼상제예사의(國恤中冠婚喪祭禮私議)」, 1701년에 지은 「제위학지방도(題爲學之方圖)」 등과 같은 도류(圖類), 그 밖에 노강서원(魯岡書院)의 재규(齋規), 동생 윤추(尹推)의 유사(遺事), 상량문 등 다양한 형식의 글이 실려 있다. 권32에는 박세구(朴世耈)를 위하여 쓴 「한천정명(寒泉亭銘)」 등의 명(銘) 4편, 여러 수의 송서(送序)를 비롯한 서(序) 8편, 「우계서실중수기(牛溪書室重修記)」 등의 기(記) 3편, 『일재집(一齋集)』 등의 발문 31편이 실려 있다.

권33~34에는 1711년에 지은 「시호하비후사당고문(諡號下批後祠堂告文)」을 비롯한 노은서원(魯隱書院) 등의 축고문 8편, 회덕(懷德)의 숭현서원(崇賢書院) 등의 축문 10편, 여러 서원의 봉안제문(奉安祭文), 김집(金集)유계(兪棨) 등을 비롯한 스승, 사우, 문인들에 대한 제문 84편이 각각 연대순으로 실려 있다.

권35~46에는 윤문거(尹文擧), 윤석(尹晳), 유명필(兪命弼) 등의 묘표 28편, 박세후(朴世垕), 이후천(李後天), 신응구(申應榘) 등의 묘지명 32편, 조극선(趙克善), 권순창(權順昌), 신석번(申碩蕃) 등의 묘갈명 45편, 윤순거(尹舜擧), 박동선(朴東善) 등의 신도비명 9편, 황신(黃愼), 권시(權諰), 윤원거(尹元擧) 등의 행장 23편이 각각 연대순으로 편차되어 있다.

별집(別集)에는 편지들이 주요 사건별로 편차되어 있는데, 회니시비(懷尼是非) 및 송시열(宋時烈)과 갈등을 빚었던 이유태, 박세채 문제 등에 관하여 송시열과 주고받은 서찰들을 모아 놓았다. 맨 앞에 목록(目錄)이 있고, 4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권1에는 송시열에게 부친 윤선거의 묘갈명을 부탁한 일과 관련하여 주고받은 서찰 13편이 실려 있고, 송시열의 답서, 박세채송시열이 주고받은 편지 등을 부기하였다. 권2에는 이유태의 예설(禮說)에 관해 송시열 등과 주고받은 편지 17편이 실려 있으며, 송시열의 원서(原書)와 답서(答書), 이유태의 편지, 예설과 관련하여 지은 『봉산어록(蓬山語錄)』 등을 부기해 놓았다.

권3에는 1681년에 지은 『의여회천서(擬與懷川書)』와 『신유의서(辛酉擬書)』에 관련된 편지 18편이 실려 있고, 나양좌의 답서, 송시열의 원서가 부기되어 있다. 권4에는 부친 윤선거가 예송(禮訟) 때 윤휴(尹鑴)를 옹호하였다고 비난받은 문제와 관련하여 송시열, 박태보 등과 주고받은 편지 14편이 실려 있다.

[의의와 평가]

『명재유고』는 조선 후기 유학과 서인(西人)이 노론(老論)과 소론(少論)으로 분열되어 치열한 당쟁이 전개되는 경위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이용자 의견
관** 디지털논산문화대전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올려주신 고귀한 의견 참조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12.03.20
박** 권33 代輔仁堂儒生.祭淸陰金文正公文.壬辰에서 김상헌이 세상을 떠나자 '보인당'의 유생을 대표하여 손수 제문을 지어 애도를 표한다.충남대학유학연구소편, [암천박증의 도학정신과 유물유적],이종성,"보인당과 기호유학"PP.115-117,명재유고 등 참조요망.중부 동토, 당숙부 용서 행장 등 보인당에 관련된 기록을 제일 많이 남김,선처앙망. 2012.03.15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